정신분석적 상담이론
1. Sigmund Freud
⑴ 자각의 수준
의식 |
전의식 |
무의식 |
현재 자각하고 있는 생각 깨어있는 상태 빙산의 일각 |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 쉽게 의식으로 변화될 수 있는 의식의 아래 부분 |
자각하지 못하는 경험과 기억 본능에 의해 지배되며 추동에 의해 움직임 리비도의 근원 |
⑵ 본능이론
삶 본능
- 인간의 생존을 위한 식욕, 성욕 등 생물학적 욕구 충족
- 성장과 발달 지향적, 리비도libido
- 삶 본능은 성sex Eros와 관련되며 쾌락을 주는 모든 행동이나 생각을 포함
죽음 본능
- 죽음에 대한 무의식적 소망
- 공격성 파괴성
*표출되면 가학증sadism, 표출되지 못하면 피가학증masochisme
⑶ 성격의 구조이론
원초아id |
자아ego |
초자아super ego |
쾌락원리pleasure principle 성격의 가장 원시적인 부분 본능의 저장소 |
현실원리reality principle 원초아, 현실, 초자아 중재 자아의 갈등이 심리적 증상 |
도덕원리morality principle 성기기 때 발달 |
*Freud 양심의 모델은 부모님 Jung 양심은 문화유산
⑷ 불안
원인에 대한 명확한 대상 없이 두려움을 느끼는 것
*불안의 원인은 무의식 속에 숨어있음
불안을 방어하는 행동의 상징이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이 정신분석
현실 불안reality anxiety
- 자아가 현실을 지각하여 두려움을 느끼는 불안
- 원인이 제거되면 불안이 사라짐 → 실제적인 위험에서 우리를 보호
신경증 불안neurotic anxiety
- 자아와 본능에 의해 작동되는 원초아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 원초아의 억압
- 막대한 힘을 가진 원초아에 의해 충동적으로 표출된 행동이 처벌되지 않을까 하는 무의식적 두려움
도덕 불안moral anxiety
- 원초아와 초자아간의 갈등
- 양심에 대한 두려움, 수치와 죄의식
*신경증, 도덕 불안은 원인을 알 수 없음 → 분석 필요
행동에 옮기지 않은 성적행동에 대한 생각만으로도 불안이 야기됨
⑸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s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
억압, 부정, 반동형성, 퇴행, 전위(치환), 승화, 합리화, 주지화, 투사 ↔ 동일시 등
*억압은 무의식, 억제는 의식
⑹ 성격발달
정신 에너지인 리비도가 신체 부위의 어디에 집중되느냐에 따라 다섯 단계로 구분
리비도가 신체의 다른 부위로 이동하지 않는 것이 고착fixation
구강기oral stage 0~1세
- 리비도가 입에 집중, 원초아의 지배
항문기anal stage 1~3세
- 배변훈련
성기기phallic stage 4~5세
- 근친상간에 대한 환상, 초자아 발달
- Oedipus complex, Electra complex
잠복기latency period 5~사춘기
- 성적 본능의 승화 단계
생식기genital stage 청소년기~성인기
- 성역할 정체감과 성인으로서의 사회적 관계 발달
⑺ 정신분석 상담의 목표
- 강화된 자아의 힘으로 증상과 관련된 정신적인 원인을 해결함으로써 심리적 문제를 해소
- 자기에 대한 무지로부터 벗어나 자신을 이해하는 것, 자신의 본능적 충동을 이성의 힘으로 다스리는 것
⑻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 : 전이transference
- 내담자가 과거의 중요한 인물들에게 느꼈던 감정이나 생각을 상담자에게 투사하는 현상
- 내담자의 무의식이 의식의 표면으로 올라오고 있음을 나타냄
- 전이의 발생과 해소는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전이는 화, 사랑
⑼ 정신분석 상담의 기제
자유연상
- 어떤 대상과 관련하여 마음에 떠오르는 생각, 감정, 기억들을 아무런 수정도 가하지 않고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
- 내담자는 보통 긴 안락의자에 눕고 상담자는 내담자의 주의를 분산시켜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옆이나 뒤에 앉음
꿈의 분석
- 잠을 자는 동안에는 무의식에 대한 자아의 방어가 약해지게 되므로 억압된 욕구와 본능적 충동들이 의식의 표면으로 쉽게 떠오름
해석
- 상담자가 꿈, 자유연상, 저항, 전이 등의 의미를 내담자에게 지적, 설명하고 가르치는 것
- 무의식적 내용들을 차츰 의식적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게 됨
- 내담자가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인지 미리 점검이 필요
- 상담에 대한 비협조는 고통스러운 무의식을 직면하지 않으려는 내담자의 태도를 반영
2. Erik Erikson
⑴ 자아심리학
인간행동과 기능의 기초
지각, 사고, 주의, 기억 등을 통해 현실을 다루는 자율적인 체제
⑵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인간의 전생애에 대한 발달단계를 최초로 제시
각 단계의 중심과제는 자아특질ego quality의 발달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데 결정적 요소는 성숙
연령 |
적응 대 부적응 방식 |
0~1세 1~3세 3~5세 6~11세 사춘기 12~18세 청소년기 18~35세 성인초기 35~55세 중년기 55세 이상 노년기 |
신뢰감 대 불신감 자율성 대 의심 및 수치심 주도성 대 죄책감 근면성 대 열등감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돈 친밀감 대 고립감 생산성 및 침체감 자아통합 대 절망감 |
대상관계 이론
Kohut
⑴ 자기 심리학self psychology
대상object 무의식세계에서 개인의 운명을 관리하는 양육자의 상, 일반적으로 어머니
대상관계object relation
- 양육자의 이미지가 아이의 무의식에 머물러 아이 자신의 이미지와 상호작용
- 양육자와의 관계 경험이 자아구조의 형성과 발달에 영향
- 타인과의 관계를 결정하는 틀 - 대인관계에 영향
⑵ 자기장애disorders of self
나약하고 상처받은 자기의 체험을 내포한 증상과 위협받는 자기를 보호하기 위한 시도
자기대상 실패는 자기장애를 야기함
⑶ 대상관계 상담이론의 목표
잃어버린 자신을 찾기 위해 ‘감금된 자아’를 해방시켜 줄 수 있는 능력을 배양
자아의 독립성과 자율성에 의한 자기실현을 주장
개인주의 상담이론
Alfred Adler
⑴ 생활양식
인생 초기 형성된 독특한 생활양식life style이 전생애를 거쳐 일관성 있게 유지되며 인생에 대한 신조, 과업을 다루는 방식을 결정
인생과제는 직업occupation, 사회society, 사랑love
|
사회적 관심social interest | ||
고 |
저 | ||
활동수준 degree of activity |
고 |
사회적 유용형 |
지배형 |
저 |
기생형 |
회피형 |
⑵ 열등감
인간은 완전성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존재 - 자기완성을 위한 필수요인
자기개념과 자기이상에 대한 불일치로 열등감 형성 → 보상
*열등감≠열등복합
돈만 모으다 죽은 人 or 돈을 모아 장학금으로 기부한 人
우월성superiority 자기완성, 자아실현
- 열등감을 극복하고 완성에 도달하기 위한 우월성 추구를 하면 건설적인 생활양식을 갖게 되어 심리적 건강을 달성
- 개인적 우월성 추구에 집착하면 파괴적인 생활양식을 갖게 되어 신경증 발생
⑶ 가족구도family constellation와 출생순위birth order
심리적 위치로 생활양식 형성에 중요
첫째아이 |
폐위된 왕, 보수적인 경향 |
둘째 또는 중간 아이 |
경쟁, 첫째아이와 대조 |
막내아이 |
과잉보호, 의존적 |
독자 |
관심의 중심, 소심하고 의존적 |
⑷ 개인주의 상담이론의 목표
생활양식의 수정
사회적 관심 증가 - 내적으로 동기화, 자발성
⑸ 개인주의 상담의 기제
관계
- 상담자와 내담자는 동등하고 수평적
- 역할역전=전이
분석 생활양식과 기능의 이해
가족구도, 초기회상, 긍정적 자원, 꿈, 재방향설정reorientation, 통찰, 해석
스스로 배우기를 원하거나 성장하고자 하고 자신을 실현하고자 하는 사람은 치료를 받을 수 있음
분석적 상담이론
Carl Gustav Jung
⑴ 정신의 구조
의식conscious
- 자아ego가 갖는 정신 에너지의 방향으로 외부대상에 지향하는 방향이 능동적인가 수동적인가에 따라 성격 태도가 결정됨(외향↔내향)
- 의식의 기능은 주관적 세계와 외부 세계를 지각하고 이해하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합리적 차원(사고↔감정)과 비합리적 차원(감각↔직관)으로 구분
무의식unconscious
- 개인무의식personal unconscious 프로이트의 전의식과 무의식을 포함한 개념
-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정신적 소인인 수없이 많은 원형으로 구성
⑵ 원형archetypes
페르조나persona
가면, 개인이 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에서 가정하는 자신의 역할
환경의 요구에 조화를 이루려고 하는 적응의 원형
페르조나와 자기가 너무 불일치할 경우 사회적 적응에 곤란
아니마와 아니무스
남성의 내부에 있는 여성성은 아니마, 여성의 내부에 있는 남성성은 아니무스
성숙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 이성을 이해하고 개발하는 것이 필요
*첫눈에 반했다 = 나의 아니마를 만났다
그림자shadow
인간의 어둡거나 사악한 측면
무의식과 인간의 원초적인 동물적 욕망
자기self
의식과 무의식의 주인 - 전체 성격의 중심
인생의 가장 결정적인 변화의 시기인 중년에 나타남
⑶ 분석적 상담이론의 기제
전이의 분석
꿈분석dream analysis
- 꿈은 일어나리라고 기대하는 경험과 사건을 준비하도록 도움
- 동시성synchronicity 두 사건이 논리적으로 인과관계가 없이 독립적으로 일어나지만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의미를 지니는 현상
- 꿈은 보상적이며 적응을 위한 노력이며 성격의 결함을 교정하려는 시도
교류분석
Eric Bern
⑴ 의사거래 분석적 상담Transactional Analysis
집단치료의 방법으로 개발,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장면에서 활용
here and now
과거와 타인은 바뀌지 않는다. 바꿀 수 있는 것은 자신뿐이다
활동적이고 역동적이며 관찰 가능한 자아 상태ego state 어버이P, 어른A, 어린이C
세 자아의 역동적 표현은 에고그램egogram으로 나타남
인간은 스트로크stroke에 대한 기본적으로 타고난 욕구를 가지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초기의 믿음에 기반을 둔 어릴 때 형성된 인생 각본(계획)을 설계함.
⑵ TA의 4대 이론
구조기능분석, 교류패턴분석, 게임분석, 각본분석
⑶ TA의 3소 이론
인정자극stroke
- 인간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자극을 받으려는 강한 욕구가 있음.
- 인정자극은 한 개인이 다른 사람에게 주는 신체적 접촉 또는 언어 등의 방법을 통한 심리적인 인정
- 자기 존중감을 느끼게 하고 자신을 긍정적인 존재로 인식할 수 있게 하며 애정과 보살핌에 기초한 인간관계를 맺게 함
- 사람들은 인정자극을 받기 위해 자신의 생활을 구조화하며, 아동기에 기대했던 종류의 인정자극을 생의 후반에도 계속 추구
- 긍정적 스트로크와 부정적 스트로크 - 긍정적 스트로크는 사람을 육성하고 성장
- 무조건적 스트로크와 조건적 스트로크
*당신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해~ or 산수에서 100점을 받으면 장난감을 사줄께~
시간의 구조화, 인생태도
⑷ TA의 목표
- 자신을 자각하게 함
- 자율적인 삶을 영위
- 진실한 교류(친교) 회복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1. Abraham Maslow
욕구위계설
동기가 어떻게 위계적으로 조직되는가
건강한 성격에 대한 기술을 바탕으로 인간의 자아실현 강조
하위욕구는 결핍욕구, 상위욕구는 성장욕구
하위 욕구는 상위 욕구가 충족되기 전에 충족되어야 하며 모든 욕구가 동시에 생기진 않음
|
자아실현의 욕구 존중 욕구 소속감과 사랑 욕구 안전 욕구 : 안전, 질서, 안전성 생리적 욕구 : 음식, 물, 성 |
|
2. Carl R. Rogers
⑴ 인간에 대한 관점
실현경향성 인간은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려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음
here and now 현재의 자기 속에서 참된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
⑵ 심리적 문제의 발생 과정
긍정적 존중에의 욕구와 자기 자신을 긍정적인 존재로 여길 수 있기 위해서는 타인으로부터 긍정적 존중을 받는 것이 필요
가치의 조건conditions of worth 가치가 있고 없음을 규정짓는 외적인 조건들
어른들에게 부여된 가치의 조건들로부터 아이들은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길들여짐
자기와 경험의 불일치 심리적 문제와 부적응 발생
⑶ 상담의 목표
충분히 기능하는fully functional
기법이 아닌 태도, 문제가 아닌 인간
내담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부정하거나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게 되면 문제는 해결됨
⑷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
수평적, 쌍방적, 비지시적
진솔성(일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
자기개념, 평가의 소재, 경험
인지행동적 상담이론
1. Albert Ellis
⑴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
사람들이 정서적 문제를 겪는 이유는 구체적인 사건 때문이 아니라 사건을 지각하고 받아들이는 방식이 잘못되었기 때문
융통성 모든, 항상, 반드시, 꼭, 결코, 당연히, ~이어야만
현실성(타당성)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인 신념들로 대체해주어야 함
⑵ 인지정서행동치료 REBT
ABCDE 모형
A 선행사건 - irB 비합리적 신념 - C 정서적 문제 경험
D 상담자의 논박
rB 합리적 신념 - E 정서적 건강 회복
내담자가 가진 비합리적 신념은 통렬한 논박을 가할 수 있지만 내담자 개인은 고귀한 인격체로서 존중하는 태도를 유지
2. Aron T. Beck
⑴ 자동적 사고
당위성을 가진 말, 개인에 따라 독특, 중단하기 쉽지 않음, 학습됨
⑵ 역기능적 인지 도식
부정적인 내용들로 인지도식을 구성할 경우 심리적 문제에 매우 취약해짐
⑶ 인지적 왜곡
자의적 추론, 선택적 추상, 과일반화, 극대화 혹은 극소화, 개인화, 이분법적 사고, 정서적 추론, 긍정 격하, 파국화, 명명과 잘못된 명명, 흑백논리
3. Fredrick B. Skinner
⑴ 조작적 조건형성
수반성(수렴성)
- 반응과 그것의 결과간에 확립될 수 있는 특별한 관계
- 자극-반응(행동)-결과
강화
- 조작적 조건형성의 핵심개념
- 정적강화positive reinforcement와 부적강화negative reinfircement
처벌 정적 처벌positive punishment과 부적 처벌negative punishment
|
강화reinforcement 반응 혹은 행동의 증가 |
처벌punishment 반응 혹은 행동의 감소 |
정적positive 제공 |
정적 강화물 음식, 칭찬, 상, 안아주기 등 |
정적 처벌물 전기쇼크, 신체적 고통, 야단치기 등 |
부적negative 제거 |
부적 강화물 고통스러운 결과를 줄 수 있는 것을 없애줌 |
부적 처벌물 기쁨이나 만족을 주는 것을 제거 |
⑵ 강화계획
고정간격계획
변동간격계획
고정비율계획
변동비율계획
⑶ 일반화
특별한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강화된 반응이 유사한 다른 상황들(자극)에서 일어나는 것
변별과 대립
⑷ 소거(망각)
반응이 강화를 통해 빈도가 증가된 후 강화도는 것이 완전히 중단되어 빈도가 감소하거나 나타나지 않는 것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회복된 양은 이전 소거기간에 나타난 행동의 양보다 적음
⑸ 행동평가
자극Antecedent events
행동Behavior
결과Consequences
4. Albert Bandura
⑴ 관찰학습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또는 대리적 학습vicarious learning 또는 modeling
관찰을 통해서 학습한 어떤 행동은 수행하고 다른 행동은 수행하지 않음 - 우리는 인지적으로 수행의 결과에 대한 기대를 하기 때문에 결과의 기대에 따라 달라짐
⑵ 자기효능감
이전 행동의 결과가 앞으로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나에 대한 믿음, 신념, 자신감 - 나의 능력에 대한 판단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
실존주의상담
1. 성립과 발전
실존주의 상담은 실존주의 철학이나 실존주의 심리학에 바탕을 둔 상담접근이다. 이것은 정신분석 상담, 행동주의 상담에 대한 반동으로 성립되었으며 넓은 의미에서는 인간중심 상담이나 현실주의 상담 이론과 함께 인본주의적 상담이론에 속한다.
1940년대와 1950년대 유럽의신학, 철학, 정신의학, 심리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자생적으로 도출된 접근이다.
실존주의 상담은 크게 실존철학, 실존분석, 인본주의 심리학, 인본주의 정신분석의 네 분야를 바탕으로 하여 성립하고 발전하였다.
실존주의 상담의 기원은 실존 철학이고 그 후 그는 실존분석이라는 실존주의 심리학과 심리치료를 탄생시켰다. 실존주의 상담의 세 번째 배경은 인본주의 심리학이다. 네번째로는 실존주의 상담의 배경이 되는 것은 인본주의적 정신분석학이다.
2. 부적응 행동의 근원과 치료의 논리
실존주의 상담에서의 인간관은 “존재는 본질에 앞선다.” 이다. 자신이 무엇이 될 것인가 하는 것은 자신이 결정하며 자신이 형성하고자 한 그 이상이 될 수 없다. 자신이 스스로 형성한 것은 물론 타인에 의하여 형성된 것도 자신이 그렇게 허용한 것이기 때문에 그 어떤것도 자신이 선택한 것이다.
프랭클은 인간 부적응의 근원을 자신의삶의 의미를 찾는 능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들은 살아야 할 가치있는 의미를 자각하지 못하고 내적 공허감을 경험하는데 여기서 탈출하지 못하고 심령 신경증의 증상을 보인다. 삶의 의미를 찾기위한 독특한 치료방법으로 의미치료를 개발하였다. 의미치료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방법으로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 세가지를 제시하였다.
3. 상담의 목표
- 실존주의 상담은 내담자의 타고난 경향성을 실현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첫째, 자신의 유일성을 발견하도록 한다.
둘째,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한다.
셋째, 불안을 긍정적 의미로 활용하도록 한다.
넷째, 선택하고 그 선택에 대하여 책임을 지도록 한다.
다섯째, 죽음을 천벌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삶에서 의미가 있고 중요한 하나의 사건으로 본다.
4. 상담의 과정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상담 관계를 참 만남의 관계로 본다. 이 관계의 본질은 정직과 진실성에 있다.
실존주의 상담은 다른 상담 접근에 비하여 명확하게 구분되는 상담의 단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5. 상담의 기법
첫째, 상담자는 인간대 인간의 접근방식을 중요시한다.
둘째, 상담자의 책임과 역할을 인정한다.
셋째, 상담 관계의 상호성을 인식한다.
넷째, 내담자와 성장 태도를 공유한다.
다섯재, 내담자를 총체적 인간으로 보고 관계한다.
여섯째, 최종결정과 선택은 내담자에게 있는 것으로 본다.
일곱째, 내담자가 자신의 견해를 말하고 자신의 목표와 가치를 발전시킬 자유가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여덟째, 내담자의 의존심을 줄이고 내담자의 자유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노력한다.
1) 역설적 의도 : 내담자가 갖는 예기적 불안을 제거함으로써 강박증이나 공포증과 같은 신경증적 행동을 치료하는 기술
2) 역반응 : 증상에 대한 과도한 관심, 의도, 자아 관찰에 초점을 두고 적용하는 기술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상담에서 이루어 지는 것들은 앞에서 배운 상담 기법들과는 조금 다른 것 이라 생각된다. 실존주의는 내담자가 느끼는 것들을 이해하고 같이 공유하며 상담을 하고 그 후에 결정은 내담자가 스스로 하는 것이 좋은 상담 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자유스럽게 하느 것도 좋지만, 스스로의 결정이 힘겨울 경우에는 상담자는 어떻게 내담자를 대해야 하는지가 궁금하다.
'사무관참고자료(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료제 순기능역기능 (0) | 2007.06.14 |
---|---|
사회요약 (0) | 2007.06.05 |
교육과정요약 (0) | 2007.06.05 |
불룸 (0) | 2007.06.05 |
기타기출 (0) | 2007.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