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두라의 관찰학습(사회화학습, 모델링학습, 무시행학습)
1. 모방학습(직접모방):모델의 행위를 관찰하고 모델이 하는 행위를 그대로 했을때 보상이 주어지기 때문에 학습이 이루어지는 경우
예) TV에서 본 가수의 춤을 따라했을때 친구들의 찬사가 주어지는 경우
2. 동일시(모형학습):관찰자가 모델의 특정한 행동보다 일반적인 행동스타일을 모방하는 것으로 모델의 행동및 모델의 정서적 반응, 광범위한 의미체계, 도덕적 가치등이 내면화되는것
3. 무시행학습:행동을 예행해볼 기회가 없거나 모방에 대한 강화가 없음에도 관찰자가 자극반응의 연결학습을 하는 현상
예) TV를 통해 폭력행위를 모방학습한 경우 모델이 동물을 때리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는데도 개를 때리게 되는것과 같은 경우
4. 동시학습:모델과 관찰자가 동시에 동일한 과제의 학습을 할때 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을 보고 그대로 행동하게 되는 경우
* 동시학습에서 나타나는 두가지의 현상
가. 청중효과:관찰자의 행동과 똑같은 행동을 하지 않거나 전혀 활동하지 않는 사람이 있는 곳에서 반응의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
나. 사회적 촉진:관찰자의 행동과 같은 행동을 모델이 할때 관찰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말함
5. 고전적 대리조건형성:다른 사람의 정서적 경험을 관찰하고 그와 비슷한 정서적 반응을 하게되는 경우
즉, 관찰을 통하여 정서적인 경험이 타인에게 전이되어가는 학습
*고전적대리조건형성에서 나타나는 세가지 현상
가.대리선동:관찰자가 다른 사람이 무조건 정서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목격하고 그에대해서 정서적으로 반응하는것
예) 다른 사람이 슬픈영화를 보고 눈물흘리는 것을 보고 자신도 눈물을 흘리는 경우
나. 감정이입:관찰자의 정서적 반응이 모델의 정서적 반응과 동일한 경우
다. 동정:관찰자의 정서적 반응과 모델의 정서적 반응이 다를때 나타나는 경우
6. 관찰학습의 과정
* 주의집중--> 파지(기억)단계 -->재생단계-->동기화단계
- 주의집중: 모델에 주의집중
- 파지 : 관찰한것을 언어적으로 부호화하거나 상상의 형태로 기억해둠
- 재생 : 기억해놓은것 끄집어내는단계 어떤행동재생
- 동기유발: 자기강화와 대리강화에의해 동기유발- 칭찬
(출제유형)
Q.다음 반두라의 관찰학습모형가운데 청중효과및 사회적촉진현상과 연관성이 있는 학습모형은?
1. 동시학습
2. 무시행학습
3. 직접모방학습
4. 고전적 대리조건형성
5. 동일시
Q.타인의정서적 경험을 관찰하고 그와 비슷한 정서적반응을 헉습하는 것으로, 슬픈영화를보고 눈물을 흘리는경우에 해당하는 학습 ?
1. 직접모방전형
2. 동일시학습
3. 무시행 학습전형
4. 동시학습전형
5. 고전적대리조건형성.
Q. 관찰학습 모형도 , 연예인모방 단계 ? (반두라 모방학습: 주파운동)
ㅇ 모방대상->A -> B -> C -> D -> 수행
1. 연예인 행동 상직적 기호로 저장 ->B
2. 표정이나 몸짓에 주의를 기울임 -> A
3. 연습반복,자기행동관찰 -> C
4. 친구들앞에서해보고 칭찬을 받는다.->D
Q. 사회인지이론의 입장을 잘반영하고있느것: 관찰학습
Q. 사회인지이론의 학습에 대한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학습과행동수행은 다르다
2. 행동과환경,그리고 개인적용인은 서로상호작용한다
3. 직접강화보다는 대리적강화를 학습기제로 더 강조
4. 조건화과정과 인지과정을 동시에 강조
5. 행동은 자유선택 의지에 의해 결정된다.
'사무관참고자료(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신기출(펌) (0) | 2007.05.18 |
---|---|
기능.갈등주의 (0) | 2007.05.16 |
정체감 (0) | 2007.05.09 |
기출 통대(펌) (0) | 2007.05.07 |
[스크랩] <교육심리학> 요약정리 교육심리 요약 (0) | 2007.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