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관참고자료(교육)

윤기출펌2

KSYANG 2007. 5. 27. 22:07
1. [ 보류하기 ]  다음 중에서 초·중등교육법의 내용이 아닌 것은?

① 교육기본법 제9조의 규정에 따라 유아교육 및 초·중등 교육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② 국립학교는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지도·감독을 받으며, 공·사립학교는 교육감의 지도·감독을 받는다.
③ 지방자치단체는 그 관할구역안의 의무교육대상자 전원을 취학시키는 데 필요한 초등학교 및 중학교와 초등학교 및 중학교의 과정을 교육하는 특수학교를 설립·경영하여야 한다.
④ 교사는 法令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학생을 교육한다.
⑤ 國·公立 및 私立의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에 학교운영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2. [ 보류하기 ]  학제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① 복선형은 능력에 따라 원하는 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된다.
② 단선형은 계통성을 중시한다.
③ 민주적 복선형은 각자의 소질·적성에 따른 개인의 수월성을 제고하자는 것이다.
④ 우리나라는 10년간을 의무교육기간으로 하고 있다.
⑤ 북한의 새 학기는 3월 1일에 시작된다.
3. [ 보류하기 ]  “TV에서 폭력장면을 많이 본 학생은 폭력행동을 자주 할 것이다.”라고 주장하는 학습이론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인간은 외부자극을 수용한 후 지적과정을 거쳐 행동한다.
② 인간의 자율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③ 자기강화에 의해서도 행동이 학습된다.
④ 강화는 직접적으로 학습을 결정한다.
⑤ 대리강화, 대리처벌을 중시한다.
4. [ 보류하기 ]  Tyler, Gagne, Mager가 제시한 수업목표진술방식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행동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았다.
② 외현적 행동의 변화에 관심을 집중한다.
③ 수업목표 달성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제공한다.
④ 학습자의 행동으로 진술한다.
⑤ 교수-학습과정에서 새롭게 생성되는 수업목표를 즉각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다.
5. [ 보류하기 ]  서구 근대 공교육제도의 형성배경으로 맞는 것은?

① 정치지도자들과는 달리 종교개혁가들에 의해 방해 받았다.
② 산업혁명의 결과 훈련받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③ 국민의식의 형성보다 개인의 권리실현을 더 중시하게 되었다.
④ 정치적 민주화의 기초 위에서 학교교육의 요구가 강해졌다.
⑤ 국가의 지도자 양성 교육이 주된 특징이다.
6. [ 보류하기 ]  형태주의 이론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쾰러(kǒhler)의 통찰설
② 전체주의(holistic)
③ 경험론적 입장
④ 주관주의
⑤ 프래그난쯔(prἅgnanz)의 법칙
7. [ 보류하기 ]  현대 철학사조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진보주의 … 심리주의, 과학주의에 기초
② 본질주의 … 지적 엘리뜨 육성 중시
③ 항존주의 … 사회적 적응 중시
④ 재건주의 … 교육의 힘 과신(過信)
⑤ 비판이론 … 일차원적 인간 비판
8. [ 보류하기 ]  수업전략 중 연결이 바른 것은?

① 벌로(D.Berlo) … SMCR 모형
② 하이더(Heider) … ARCS 모형
③ 페이비오(A.Paivio) … 순차식-발견식 이론
④ 와이너(weiner) … 이중부호화 이론
⑤ 글레이저(Glaser) … 목표별 수업이론
9. [ 보류하기 ]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을 잘 못 진술한 것은?

① “어린이는 어른의 축소판”이라 하면서 아동 중심의 교육을 주장한다.
② 양육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교육적 영향력을 무시하고 있다.
③‘합자연의 원리’를 주장하면서 신체적 성장을 사회적·도덕적 성장과 잘못 비유하고 있다.
④ 남녀의 교육은 동일해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⑤ 그가 말하는 세 교사 중 인간교육과 사물교육은 자연교육에 따라야 한다고 한다.
10. [ 보류하기 ]  근대 우리나라의 교육개혁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초기의 근대학교는 서양의 교양교과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였다.
② 유능한 관리양성이 주된 목적이었다.
③ 정부는 초등교육 중심의 교육개혁에 치중하였다.
④ 갑오개혁 이후에 근대화 작업이 시작되면서 성균관은 폐지되었다.
⑤ 고종은 교육조서에서 五倫行實을 최우선으로 닦을 것을 천명하고 있다.
11. [ 보류하기 ]  인간중심 상담이론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특성이론에 근거한다.
② 문제해결의 지적과정을 중시한다.
③ 상담가의 전문적 훈련·상담기법을 인간관계 기술보다 중시한다.
④ 자기개념(Sense of self)을 중시한다.
⑤ 진단과정을 중시한다.
12. [ 보류하기 ]  측정도구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신뢰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충실하게 측정했느냐의 문제이다.
② 타당도보다 신뢰도가 더 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③ 신뢰도가 없다면 타당도도 없는 측정도구이다.
④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려운 문항을 출제해야 한다.
⑤ 평가의 편리성은 고려대상이 아니다.
13. [ 보류하기 ]  다음과 관련된 교육행정의 원리로서 가장 타당한 것은?

   적극적인 주민의 참여로 지방실정에 알맞는 자율적인 통제와 운영을 해야 한다는 원리

① 자주성의 원리
② 법치행정의 원리
③ 지방분권의 원리
④ 적응성의 원리
⑤ 민주성의 원리
14. [ 보류하기 ]  다음 중 ‘기능이론’에 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사회질서와 사회체제의 유지·존속을 강조하였다.
② 능력주의 사회를 신봉한다.
③ 학교는 선발적 기능을 수행한다.
④ 사회는 구성요소의 유기적 결합으로 형성된다.
⑤ 학교 교육내용은 보편적인 것이 아니다.
15. [ 보류하기 ]  데일(E.Dale)의 ‘경험의 원추’에서 가장 구체적인 것은?

① 사진
② 영화
③ 전시
④ 시범
⑤ 극화경험
16. [ 보류하기 ]  다음에서 학교조직의 전문적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분업화
② 학급경영의 자율성
③ 규칙의 융통성
④ 느슨한 결합
⑤ 고객봉사
17. [ 보류하기 ]  다음의 동기요인 중 인본주의자들이 가장 강조하는 것은?

① 장학금
② 시험
③ 호기심
④ 사회적 인정
⑤ 귀인
18. [ 보류하기 ]  사회계층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재산, 권력, 권위를 들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① K. Marx
② M. Weber
③ Carnoy
④ Blau & Duncan
⑤ L. Warner
19. [ 보류하기 ]  신라시대 교육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화랑도는 봉건사회의 결속과 유대를 강화시키는 장치였다.
② 화랑도의 교육과정은 지적인 것보다 생활적인 것을 중시하였다.
③ 화랑도는 사적 단체였으나 삼국 통일의 원대한 이상을 실현하고자 진흥왕 때 국가의 교육제도로 끌어들였다.
④ 고려가 개국 됨에 따라 화랑도 정신은 더 이상 승계되지 못하고 쇠퇴하게 되었다.
⑤ 통일 이후에 세운 국학은 당의 국자감을 모방하여 세운 유교 교육 기관이었다.
20. [ 보류하기 ]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설명은?

① 평가는 교육현장에서 꼭 필요하긴 하지만, 경쟁심 또는 부정적 자아를 형성시키기도 한다.
② 수업시수의 부족으로 예능교과가 소홀히 되고 있지만, 예능교과는 全人的 성장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하므로 이러한 현상은 재고 되어야 한다.
③ 바람직한 내용만을 포함하며 교사의 지적·기능적 영향을 받는다.
④ 공식적 교육과정을 배우는 동안 놓치게 되는 학습내용을 말한다.
⑤ 교사의 마음속에 계획되어 있는 교육과정이다.
21. [ 보류하기 ]  지능검사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스탠포드-비네척도는 최초의 집단지능검사이다.
② 비네검사는 아동용 지능검사로 지능지수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③ 웩슬러 지능검사는 동작성 검사를 포함하고 있어 스탠포드-비네검사에 비해 언어능력에의 의존도가 낮다.
④ 지능검사로는 학습능력을 예언하지 못한다.
⑤ 학력이나 문화적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22. [ 보류하기 ]  다음의 내용과 관련된 사람은?

 · 19세기 초 베를린 대학 설립의 책임을 맡았다.
 · 그가 제시한 ‘정치권력에 제약받지 않는 교수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는 유럽은 물론 미국 및 전세계의 대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① 피히테(Fichte)
② 슐라이어마허(Schleiermacher)
③ 헤겔(Hegel)
④ 크리크(Krieck)
⑤ 흄볼트(Humboldt)
23. [ 보류하기 ]  슈타이너(Steiner)의 발도르프 학교(1919)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아동이 가지고 있지 않은 부족한 부분을 교육을 통해 채워 주려는 데 주안점을 둔다.
② 처음 8년간의 초등 단계의 교육은 기본교과와 많은 예술교과 시간을 통하여 장래의 직업과는 상관 없이 똑같은 공부를 하고, 한 선생님이 8년간 담임을 한다.
③ 단순히 머리로만 아는 지식은 인간의 존재와 본성에 대한 참다운 지혜를 얻지 못하므로 손과 발을 통한 외적 세계와의 상호작용, 즉 노작활동을 중시한다.
④ 학생들을 낙제시키는 일 없이 모두 12년간의 일반적인 학교교육을 받는다.
⑤ 성적표가 없다. 수치로 평가하는 것이 부당하기 때문이라한다. 대신 아이들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기술한 것을 증명서로 발급한다.
24. [ 보류하기 ]  정의적 특성과 학습의 관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학습과정에서 계속적인 좌절감은 학생들의 학습시간을 감소시킨다.
② 실패의 원인을 노력 부족에 돌리는 학생은 다음 시험을 위해 더 노력한다.
③ 쉬운 과제일 경우에는 불안이 높을 때에 학습의 효율성이 증대되나 어려운 과제일 경우에는 오히려 학습의 효율성이 감소한다.
④ 부정적 자아개념이 강한 학생은 개별지도교수법(IGI)이나 완전학습과 같은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⑤ 어떤 과제 수행을 계속 실패한 뒤에는 과제수행에 대한 포부수준(기대수준)을 약간 낮추는 경향이 있다.
25. [ 보류하기 ]   다음과 같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은?
   · 미래의 불확실한 문제들을 예측
 · 전문가들의 익명성, 익명의 반복적 질문지 조사, 3~4회의 통제된 피드백

① 델파이(Delphi)기법
② 외삽법
③ 토의법
④ 실험법
⑤ 면접법

 

 

13452/ 33115/ 43355/ 14241/ 35151/

 

 

 

 

 

 

 

 

 

 

 

 

1. [ 보류하기 ]  표준화 검사를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① 대학진학을 위한 수학능력고사, 지능검사와 성격검사 등은 심리검사로서 표준화 검사이다.
② 적성검사는 직업지도나 진학지도에 이용된다.
③ 지능검사는 적성검사보다 보다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지적 능력을 재어주는 표준화 검사이다.
④ 모든 수검자는 동일한 지시, 동일한 질문, 동일한 제한시간을 부여받으므로 얻어진 점수들은 의미 있는 비교가 불가능하다.
⑤ 표준화검사에서 수검자가 보인 반응은 수검자의 전체 행동 중에서 일부 표본이다.
2. [ 보류하기 ]  학습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정신지체, 정서장애, 신체장애, 환경 및 문화적 결핍과는 관계없이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및 산수능력(수리능력)을 습득하거나 활용하는 데 있어 한 분야 이상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장애이다.
② 정상적인 보통수준의 지능을 가지고 있지만 지각 장애, 신경체제의 역기능, 중추신경계의 이상으로 인한 정보처리과정의 장애가 주된 원인이다.
③ 주의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기억 및 사고의 장애 등과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
④ 뇌에 어떤 문제가 없으면서도 환경적인 문제에 기인하는 학습기회의 부족으로 인해 학습결과과 최저수준에 미달하는 경우를 말한다.
⑤ 특수교육에서 논의되는 장애의 한 분류로서 특수교육진흥법상 특수교육의 대상범위에 포함되고 있다.
3. [ 보류하기 ]  다음의 예는 어떤 교사의 수업장면을 적어 놓은 것이다. 여기서 교사는 학생이 거미를 설명하는 문장들의 요점에 대한 질문을 형성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이 수업에 적용되는 교수-학습 방법은?

·교재…
·숫거미는 암거미보다 훨씬 작다. 숫거미의 몸은 갈색이다. 숫거미는 암거미의 망 한쪽에 앉아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찰리… (질문이 없다)
·교사… 이 문장들은 무엇에 대한 것이니?
·찰리… 암거미의 짝…, 암거미의 짝이…어떻게…
·교사… 좋아! 계속해 봐
·찰리… 어떻게 암거미의 짝이 더 작은지…어떻게 말해야 할지…
·교사… 천천히 생각해 봐. 너는 숫거미에 대해 그리고 숫거미가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물어보려고 하고 있어. ‘어떻게'라는 단어로 시작하면서.
·찰리… 어떻게 거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보내는 거죠?
·교사… 비슷해졌구나. 질문은 아마도 “어떻게 숫거미는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가?”이겠지. 이제 네가 물어봐.
·찰리… 어떻게 숫거미는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죠?
※ 학생들은 점점 더 교수에 대한 책임을 갖는다.

① 팀 티칭(Team Teaching)
② 정황학습(anchored learning)
③ 상호적 교수(reciprocal teaching)
④ 인지적 도제(Cognitive apprenticeship)
⑤ 토의학습
4. [ 보류하기 ]  다음의 현상과 관련된 것은?
 
·아플 때 약을 먹은 후 통증이 사라지면 약먹는 행위가 증가한다.

① 벌Ⅰ
② 벌Ⅱ
③ 정적강화
④ 부적강화
⑤ 소거
5. [ 보류하기 ]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생활지도의 원리는?
·자신의 이해를 통해 건전한 자아개념을 갖게 하고, 개인의 능력과 인격형성에 있어 능동적인 면을 강조한다.

① 자율성 존중의 원리
② 적응의 원리
③ 개인존중과 수용의 원리
④ 전인성의 원리
⑤ 적극성의 원리
6. [ 보류하기 ]  다음이 설명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가?

·교통위반 딱지를 받고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기보다 단속 경찰을 비난한다.

① 투사
② 합리화
③ 주지화
④ 반동형성
⑤ 부인
7. [ 보류하기 ]  다음 중 형성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학습실패의 교육외적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이다.
② 교수가 진행중일 때 투입하여 학생의 신체적·정서적·문화적 환경의 결함을 찾아내기 위한 것이다.
③ 완전학습에 접근하고 있는지를 계속적으로 점검하고 교정해 주기 위한 평가이다.
④ 집단간 학습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평가이다.
⑤ 상대평가로 실시한다.
8. [ 보류하기 ]  다음은 프로이트(Freud)가 말하는 성격구조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그림에서 A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① Id와 Ego의 욕구와 활동을 감시하는 경찰관이다.
② 욕망을 사회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행동으로 만든다.
③ 사람의 마음을 일게 하는 심적 에너지의 원천이다.
④ 인간정신의 모든 것을 관장한다.
⑤ 현실의 원리를 따른다.
9. [ 보류하기 ]  아동기(7세~11세정도)에 해당하는 특징을 가장 바르게 기술한 것은?

① 어른의 형태와 성적 만족에 관심을 갖는다.(Freud)
② 사물을 직관적으로 분류하고 사고하기 시작한다.(Piaget)
③ 도덕성을 자기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한다.(Kohlberg)
④ 부모들이 아동들의 주위탐색을 잘 격려해 주면 주도성이 생기나, 그렇지 않으면 죄책감이 생긴다.(Erikson)
⑤ 적절한 성 역할을 이해하기 시작하며, 읽기·쓰기·셈하기의 기본기술을 습득한다.(Havighurst)
10. [ 보류하기 ]  학습전이의 일반적 현상은 다음학습에 대한 이전학습의 영향과 활용이다. 전이는 적극적일 수도 있고 소극적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아래에서 가장 전이를 방해하는 것은?

전학습 신(후행)학습
S1-R1 ① S1-R1
② S2-R1
③ S1-R2
④ S2-R2
⑤알수없음





11. [ 보류하기 ]  다음은 강화체(reinforcers)로 종종 사용되는 것들이다. 이 중에서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 사탕
② 돈
③ 토큰
④ 권력
⑤ 좋은 성적
12. [ 보류하기 ]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발달단계이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콜버그는 도덕성 발달이 불변적 순서로 일어나며, 단계를 뛰어 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② 개인의 권리나 정의를 중시하고 있다.
③ 문화적 공평성을 유지하고 있다.
④ Piaget의 도덕성 발달단계 이론의 영향을 받았다.
⑤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행위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비판을 받는다.
13. [ 보류하기 ]  스턴버그(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에서 ‘어떤 과학자가 박테리아 배양 실험을 망친 곰팡이를 보고 페니실린을 발견했다’면 이와 관련된 지능은?

① 성분적 지능
② 경험적 지능
③ 맥락적 지능
④ 실천적 지능
⑤ 유동적 지능
14. [ 보류하기 ]  성격검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투사적 방법에서는 자극자료가 비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피험자의 반응이 자유롭다.
② 투사법에서는 피험자가 자신에게 유리하게 응답할 가능성이 있다.
③ 객관적 성격검사는 표준화되어 있어서 객관적 해석이 가능하다.
④ 자기보고형식의 성격검사는 실시와 채점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⑤ MMPI는 심리적 장애식별 및 진단도구이다.
15. [ 보류하기 ]  다음이 설명하는 것과 관련되는 것은?

·“물고기를 주면 하룻동안 먹을 수 있을 것이나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치면 평생 동안 먹을 수 있을 것이다.”

·텔레비젼을 끄면 공부가 더 잘 된다는 것을 안다.

·만화책은 빠르게 읽지만 과학책은 이해하는 정도를 점검하면서 천천히 읽는다.

·학습장애아동의 학습곤란의 원인이 된다.

① 초인지
② 자아조절기제(self-regulatory mechanisms)
③ 인지
④ 전이
⑤ 성취동기
16. [ 보류하기 ]  수행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한 것은?

① 높은 신뢰도
② 규준지향평가
③ 외부전문가에 의한 검사 제작
④ 학습의 결과 중시
⑤ 주관주의 패러다임에 기초
17. [ 보류하기 ]  다음의 문항 유형 중에서 채점의 객관성이 가장 높은 것은?

① 서답형
② 논술형
③ 진위형
④ 단답형
⑤ 완결형
18. [ 보류하기 ]  비고츠키(vygotsky) 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방법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① 수업은 교사-아동간 활발한 교육적 대화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② 최선의 교수-학습방법은 아동의 실제적(actual) 발달수준에 상응하는 수행보조를 베푸는 것이다.
③ 학습환경은 비권위적·비감독적이어야 한다.
④ 교사는 전체학습활동, 실험실팀활동, 협동학습을 위한 소집단 활동, 토론활동 등 다양한 활동 환경을 설정해야 한다.
⑤ 상호주관성(상호주체성), 공동문제해결을 중시한다.
19. [ 보류하기 ]  다음의 내용을 설명해 주는 개념은?

·정보는 학습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 회상이 잘 된다.
·운동선수들의 현지적응훈련과 맥락이 같다.

① 이중부호화(dual code of memory)
② 자동적 처리(automatic processing)
③ 통제적 처리(controlled processing)
④ 부호화 특정성(encoding specificity)
⑤ 정교화(elaboration)
20. [ 보류하기 ]  다음의 내용은 구체적조작기 아동의 인지발달에 관한 이론이다. 관련된 학자는?

·아동의 작업기억은 조작공간과 저장공간으로 구성된다.
·아동의 인지발달은 조작의 효율성을 통한 조작공간의 감소와 저장공간의 증가    현상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시기 동안 반복적 연습과 숙달에 의해 과제처리 능력을 길러가   는 것은 자동화를 통한 조작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중요하다.

① Case
② Pasual-Leone
③ Vygotsky
④ Baldwin
⑤ Bruner
21. [ 보류하기 ]  아래의 내용과 관련된 창의력의 구성요소는?

· 아이디어 변형의 힘
 ·발상 자체를 전환시켜 다양한 관점을 적용시키기
 ex)자동차 튜브의 펑크를 해결하기 위해 튜브자체를 없앰으로써 해결하기

① 융통성
② 유창성
③ 민감성
④ 독창성
⑤ 정교성
22. [ 보류하기 ]  다음의 현상을 설명해 주는 학습이론은?

3학년 1반 담임선생님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인내력이 있는 태도를 보여 주었으나, 3학년 2반 담임선생님은 그렇지 않은 태도를 보여주었다. 그 결과 3학년 1반의 학생들은 끈기있게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 반면, 3학년 2반의 학생들은 오히려 인내력이 저하되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① 신호학습
② 조작적 조건화
③ 고전적 조건형성
④ 인지주의 이론
⑤ 사회 학습이론
23. [ 보류하기 ]  스트레스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는 객관적이다.
② 승진, 결혼과 같은 사건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
③ 어느 대상을 택하든 행복한 상태인 ‘접근-접근’갈등은 스트레스를 수반하지 않는다.
④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부적응 행동, 정신적·신체적 질병으로 발전되므로 스트레스는 반드시 부정적 영향으로 귀결된다.
⑤ 경쟁, 포부수준 고수는 스트레스에 대한 좋은 대처방법이다.
24. [ 보류하기 ]  Lewin의 장이론에 의하면 인간행동의 변화를 유발하는 것은?

① 뇌세포 속의 신경망의 변화
② 환경
③ 유전적 요인
④ 인지구조의 변화
⑤ 유전과 환경
25. [ 보류하기 ]  창의력과 학업성취에 관한 겟젤스(Getzels)와 잭슨(Jackson)의 연구결과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학교학습은 지능뿐만 아니라 창의성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② 고지능집단과 고창의성집단간의 지능차는 현저하였으며 그들의 학업성취도는 고지능집단이 약간 높았다.
③ 고지능집단과 고창의성집단은 성취동기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④ 교사는 고창의집단보다 고지능집단의 학생을 더 선호한다.
⑤ 이 연구결과는 학교에서 창의력을 키워주기 위한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44342/ 13153/ 13221/ 53241/ 15242

 

'사무관참고자료(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룸  (0) 2007.06.05
기타기출  (0) 2007.05.29
윤기출펌1  (0) 2007.05.27
윤기출펌  (0) 2007.05.27
윤신기출(펌)  (0) 2007.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