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의 개념을 요람에서 무덤까지로 확대시킨 교육론은?
1) 통합교육론 2) 평생교육론 3) 단계교육론
4) 형식교육론 5) 노인교육론
2. 실증주의(positivism)적 교육연구의 특징을 올바르게 지적한
것은?
1) 교육현상과 사회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설명하는데 초점을
둔다.
2) 교육연구법과 과학적 연구법을 철저하게 구분한다.
3) 교육과 관련하여 형이상학적 명제의 구성에 일차적 관심을
둔다.
4) 가설연역적(hypothetic-deduc-tive)접근을 전형으로 삼는다.
5) 교육내용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역사적·문화적 분석에
초점을 둔다.
3.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설립된 근대적 학교는 어느 것인가?
1) 소학교 2) 원산학사 3) 한성사범학교
4) 관립의학교 5) 관립중학교
4. 교육감은 누구에 의해서 선출되나?
1) 교육부장관 2) 교육위원회 교육위원 3) 지역주민
4) 지방의회의원 5) 대통령
5. 교육을 근대화의 수단으로 보는 교육론은?
1) 종속이론 2) 갈등이론 3) 교육가치론
4) 사회변동론 5) 발전교육론
6. 중세기의 도제교육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인문교육 2) 과학교육 3) 교양교육
4) 직업교육 5) 관리교육
7. 다음 중 산술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변수들만으로
구성된 자료는?
1) 사회경제적 지위,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
2) 성별,국어 점수
3) 연령,수학점수
4) 지역,지능
5) 흥미,계열
8. 인류의 위기의식에서 출발하여 오늘날의 문화를 재점검함으로써
이상적인 문화에 대한 전망을 굳히고, 이를 위하여 교육이 선도
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자는 교육관은?
1) 진보주의 교육관 2) 본질주의 교육관 3) 항존주의 교육관
4) 재건주의 교육관 5) 실존주의 교육관
9. McGregor의 Y이론의 인간관을 잘 나타낸 것은?
1) 인간은 자기통제와 자기지시를 행사할 수 있다.
2) 구성원들은 설득과 보상을 주면서 처벌과 통제를 해야 한다.
3) 경영 실제에서 관습적으로 유지해온 전통적인 인간관이다.
4) 대부분의 인간은 야망이 없고, 책임지기를 싫어한다.
5) 인간은 원래 자기중심적이어서 조직의 목표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10. 교육의 내재적 목적이란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
1) 교육에는 선험적·논리적인 가치가 그 속에 있다.
2) 교육에는 뚜렷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
3) 교육에는 가치있는 목적이 있어야 한다.
4) 교육에는 학습자의 심리를 고려한 목적이 설정되어야 한다.
5) 교육에는 교육적 요구가 고려된 목적이 고려되어야 한다.
11.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게 하는데에 가장 좋은 교수형태는?
1) 강의와 토론 2) 반복연습형 게임 3) 역학놀이
4) 물리적 시뮬레이션 5) 컴퓨터 시뮬레이션
12. 강의식 교수법에서 '선행조직자'를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선행지식의 활성화 2) 학습내용의 조직화 촉진
3) 수업목표의 명료화 4) 학습동기의 증진
5) 선수학습요소의 진단
13. 다음 중 장학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1) 교사의 집단행동을 감시하는 일
2) 교사의 사무를 도와주는 일
3) 교사의 전문적 성장을 돕는 일
4) 교사의 일을 감독하는 일
5) 교사의 자질을 심사하는 일
14. 자기를 다른 사람과 같게 생각함으로써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
려는 심리적인 적응기제는?
1) 합리화 2)) 욕구충족 3) 동일시 4) 보상 5) 투사
15. 암기력의 문제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신뢰도는?
1) 재검사신뢰도 2) 동형검사신뢰도 3) 반분검사신뢰도
4) 문항내적 합치도 5) Cronbach α
16. 다음 중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e)에 해당하는 것은?
1) 결과에 대한 기대 2) 성적 3) 지적 호기심
4) 경쟁심 5) 상과 벌
17. 우리나라에서 의무교육의 취학의무는 누가 지는가?
1) 정부 2) 학교 3) 아동 4) 지방자치단체 5) 부모
18. 교육자체제도의 기본원리로 가장 잘 짝지워진 것은?
1) 전문관리와 분리독립 2) 기회균등과 민중통치
3) 법치행정과 분권독립 4) 민중통치와 지방분권
5) 지방분권과 適度集權
19.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서당에는 국립과 사립이 있었다.
2) 서울에 국립고등교육기관으로 성균관이 있었다.
3) 종학은 지방의 양반계급 자녀들을 위한 교육기관이었다.
4) 각 교육기관은 계통적으로 서로 잘 연결되어 있었다.
5) 모든 교육기관은 국가의 보조가 따랐다.
20. 공통적 지식과 가치를 추구하며 사회통합과 동질성의 확립에
기여하는 교육에 반대하고, 개인의 주체적 선택을 가장 강조
하는 교육사조는?
1) 항존주의 2) 진보주의 3) 실존주의
4) 개조주의 5) 본질주의
21. 19c 미국의 초등의무교육운동에 앞장섰던 호레이스 만(H.Mann)
은 교육을 무엇이라고 불렀는가?
1) 국민계몽의 수단 2) 문맹퇴치의 장치
3) 국민통합의 수단 4) 문화유산 전달의 도구
5) 위대한 평등장치
22. 교육과장모형과 그 배경이 되는 기본교육사상이 바르게 짝지어
진 것은?
1) 교과교육과정-실존주의 교육사상
2) 경험교육과정-진보주의 교육사상
3) 학문교육과정-재견주의 교육사상
4) 인간교육과정-항존주의 교육사상
5) 생활교육과정-본질주의 교육사상
23.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특징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관찰학습의 기능을 강조한다.
2) 중추신경활동의 분석을 통해 학습과정을 이해한다.
3) 학습의 결과를 인지구조의 변호로 본다.
4) 문제해결에 있어서 통찰의 기능을 강조한다.
5) 자극-반응의 연합을 통해 학습현상을 설명한다.
24. 문항내적 합치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정성계수라고도 한다.
2) 동형성계수라고도 한다.
3) Cronbach α라고도 한다.
4) Spearman-Brown공식에 의하여 구한다.
5) K-R(Kuder-Richardson)공식에 의하여 구한다.
25. 교육평등이란 교육받을 기회의 평등만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학생들이 학교를 떠날 때 학생들이 갖추고 있는 학력이 평등
해야 한다는 주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허용적 평등 2) 보장적 평등 3) 과정의 평등
4) 결과의 평등 5) 법률적 평등
26. 교육에 대한 갈등이론적 요소만으로 나열된 것은?
1) 사회화 교육기능, 문화유형 유지기능,적응적 기능
2) 학교의 부정적 기능 비판,문화 유형 유지기능,경쟁교육의
순기능
3) 경쟁교육의 순기능,통합적 기능,학교개혁과 사회개혁
4) 능력주의 비판,학교의 부정적 기능 비판,학교개혁과
사회개혁
5) 사회화 기능,교육의 관료체제 비판,문화유형 유지기능
27. 학력상승의 원인을 교육인플레현상으로 설명하는 것은?
1) 학습욕구이론 2) 신마르크스이론 3) 기술기능이론
4) 지위경쟁이론 5) 경제재생생산이론
28.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중에서 형식적 조작기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사고
2)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언어
3) 평면적이며 직관적인 사고
4) 감각과 동작에 의한 사고
5) 통찰에 의한 전체적 사고
29. 다음 중 복선형 학제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민주적 이념에 토대한 학제이다.
2) 미국형 학제라도 한다.
3) 모든 국민에게 개방된 단일체계의 학교제도이다.
4) 국민에게 평등하게 개방되지 않으면 계급적인 성격을 띤다
5) 각 단계의 학교는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30. 교수이론과 학습이론의 특징 및 관련성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교수이론은 설명적이고 학습이론은 처방적·규범적이다.
2) 다수의 교수이론에 의하여 하나의 학습이론이 형성된다.
3) 교수이론은 학습이론 구성의 필요·충분조건이 된다.
4) 학습이론에 의존하지 않는 교수이론도 개발될 수 있다.
5) 학습이론은 실제 수업장명에 적용될 수 있을 정도로 맥락
의존적이어야 한다.
31. 다음 중 공인타당도의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
1) 측정도구가 교과내용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고 있는지의
정도
2) 안면타당도라고도 함
3) 미래행동을 예측하는 정도
4) 검사결과와 현재의 다른 준거점수간의 상관정도
5) 한 검사의 이론적 가설에 대한 논리적인 검증과정
32. 교육의 정의를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라고 할 때 「계획」
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교육원리 2) 교육과정 3) 교육행정
4) 교육경영 5) 교육평가
33. 국가와 교육의 관계를 밀접하게 고려하고 있는 국가주의 교육
사상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국가주의 교육사상은 이태리파쇼나 독일나치의 교육이 그
전형적인 예이다.
2) 국가주의 교육사상은 공교육과 의무교육의 확대를 방해
하였다.
3) 국가주의 교육사상은 개인을 국가의 도구로만 생각한다.
4) 모든 국가주의 교육은 탈합리주의이며 전체주의이다.
5) 국가주의 교육사상에는 국민이 국가를 위하여 교육되어야
한다는 입장과 국가가 국민의 복지를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입장사이의 갈등이 있다.
34. 다음 중 고려시대의 공교육기관은?
1) 향교 2) 경당 3) 국자감 4) 태학 5) 12공도
35. Gagne의 수업이론에서 학습자의 내적 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1) 수업의 순서 2) 선행학습의 정도 3) 학습력의 전이
4) 강화의 정도 5) 교수자료의 조직정도
36. 교육에 대한 갈등론적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사회화와 선발은 학교의 본질적 기능이다.
2) 교육기회만 공정하면 학력에 따른 사회적 지위 수준의 차이
는 공정하다.
3)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경제적 지위의 차이는 정당하다.
4) 의무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5) 학교교육은 기존의 사회구조를 재생산한다.
37. 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 이론에서 제1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규칙은 정해진 의무이기 때문에 지킨다.
2) 상을 받기 위하여 규칙을 지킨다.
3) 벌을 피하기 위하여 규칙을 지킨다.
4)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기 위해 규칙을 지킨다.
5) 자친의 양심에 따라 규칙을 지킨다.
38. 우리나라 교육법의 기반이 되는 것은?
1) 홍익인간 2) 자유민주주의 3) 헌법
4) 인권사상 5) 전인교육
39. 정신연령(MA)이 20이고 실제연령(CA)이 18인 사람의 IQ는?
1) 90정도 2) 100정도 3) 110정도
4) 130정도 5) IQ를 짐작할 수 없다.
40.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를 강조하는 교육사회학 이론은?
1) 갈등이론 2) 기능이론 3) 신교육사회학
4) 발전교육론 5) 지위경쟁이론
1) 통합교육론 2) 평생교육론 3) 단계교육론
4) 형식교육론 5) 노인교육론
2. 실증주의(positivism)적 교육연구의 특징을 올바르게 지적한
것은?
1) 교육현상과 사회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설명하는데 초점을
둔다.
2) 교육연구법과 과학적 연구법을 철저하게 구분한다.
3) 교육과 관련하여 형이상학적 명제의 구성에 일차적 관심을
둔다.
4) 가설연역적(hypothetic-deduc-tive)접근을 전형으로 삼는다.
5) 교육내용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역사적·문화적 분석에
초점을 둔다.
3.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설립된 근대적 학교는 어느 것인가?
1) 소학교 2) 원산학사 3) 한성사범학교
4) 관립의학교 5) 관립중학교
4. 교육감은 누구에 의해서 선출되나?
1) 교육부장관 2) 교육위원회 교육위원 3) 지역주민
4) 지방의회의원 5) 대통령
5. 교육을 근대화의 수단으로 보는 교육론은?
1) 종속이론 2) 갈등이론 3) 교육가치론
4) 사회변동론 5) 발전교육론
6. 중세기의 도제교육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인문교육 2) 과학교육 3) 교양교육
4) 직업교육 5) 관리교육
7. 다음 중 산술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변수들만으로
구성된 자료는?
1) 사회경제적 지위,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
2) 성별,국어 점수
3) 연령,수학점수
4) 지역,지능
5) 흥미,계열
8. 인류의 위기의식에서 출발하여 오늘날의 문화를 재점검함으로써
이상적인 문화에 대한 전망을 굳히고, 이를 위하여 교육이 선도
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자는 교육관은?
1) 진보주의 교육관 2) 본질주의 교육관 3) 항존주의 교육관
4) 재건주의 교육관 5) 실존주의 교육관
9. McGregor의 Y이론의 인간관을 잘 나타낸 것은?
1) 인간은 자기통제와 자기지시를 행사할 수 있다.
2) 구성원들은 설득과 보상을 주면서 처벌과 통제를 해야 한다.
3) 경영 실제에서 관습적으로 유지해온 전통적인 인간관이다.
4) 대부분의 인간은 야망이 없고, 책임지기를 싫어한다.
5) 인간은 원래 자기중심적이어서 조직의 목표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10. 교육의 내재적 목적이란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
1) 교육에는 선험적·논리적인 가치가 그 속에 있다.
2) 교육에는 뚜렷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
3) 교육에는 가치있는 목적이 있어야 한다.
4) 교육에는 학습자의 심리를 고려한 목적이 설정되어야 한다.
5) 교육에는 교육적 요구가 고려된 목적이 고려되어야 한다.
11.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게 하는데에 가장 좋은 교수형태는?
1) 강의와 토론 2) 반복연습형 게임 3) 역학놀이
4) 물리적 시뮬레이션 5) 컴퓨터 시뮬레이션
12. 강의식 교수법에서 '선행조직자'를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선행지식의 활성화 2) 학습내용의 조직화 촉진
3) 수업목표의 명료화 4) 학습동기의 증진
5) 선수학습요소의 진단
13. 다음 중 장학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1) 교사의 집단행동을 감시하는 일
2) 교사의 사무를 도와주는 일
3) 교사의 전문적 성장을 돕는 일
4) 교사의 일을 감독하는 일
5) 교사의 자질을 심사하는 일
14. 자기를 다른 사람과 같게 생각함으로써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
려는 심리적인 적응기제는?
1) 합리화 2)) 욕구충족 3) 동일시 4) 보상 5) 투사
15. 암기력의 문제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신뢰도는?
1) 재검사신뢰도 2) 동형검사신뢰도 3) 반분검사신뢰도
4) 문항내적 합치도 5) Cronbach α
16. 다음 중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e)에 해당하는 것은?
1) 결과에 대한 기대 2) 성적 3) 지적 호기심
4) 경쟁심 5) 상과 벌
17. 우리나라에서 의무교육의 취학의무는 누가 지는가?
1) 정부 2) 학교 3) 아동 4) 지방자치단체 5) 부모
18. 교육자체제도의 기본원리로 가장 잘 짝지워진 것은?
1) 전문관리와 분리독립 2) 기회균등과 민중통치
3) 법치행정과 분권독립 4) 민중통치와 지방분권
5) 지방분권과 適度集權
19.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서당에는 국립과 사립이 있었다.
2) 서울에 국립고등교육기관으로 성균관이 있었다.
3) 종학은 지방의 양반계급 자녀들을 위한 교육기관이었다.
4) 각 교육기관은 계통적으로 서로 잘 연결되어 있었다.
5) 모든 교육기관은 국가의 보조가 따랐다.
20. 공통적 지식과 가치를 추구하며 사회통합과 동질성의 확립에
기여하는 교육에 반대하고, 개인의 주체적 선택을 가장 강조
하는 교육사조는?
1) 항존주의 2) 진보주의 3) 실존주의
4) 개조주의 5) 본질주의
21. 19c 미국의 초등의무교육운동에 앞장섰던 호레이스 만(H.Mann)
은 교육을 무엇이라고 불렀는가?
1) 국민계몽의 수단 2) 문맹퇴치의 장치
3) 국민통합의 수단 4) 문화유산 전달의 도구
5) 위대한 평등장치
22. 교육과장모형과 그 배경이 되는 기본교육사상이 바르게 짝지어
진 것은?
1) 교과교육과정-실존주의 교육사상
2) 경험교육과정-진보주의 교육사상
3) 학문교육과정-재견주의 교육사상
4) 인간교육과정-항존주의 교육사상
5) 생활교육과정-본질주의 교육사상
23.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특징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관찰학습의 기능을 강조한다.
2) 중추신경활동의 분석을 통해 학습과정을 이해한다.
3) 학습의 결과를 인지구조의 변호로 본다.
4) 문제해결에 있어서 통찰의 기능을 강조한다.
5) 자극-반응의 연합을 통해 학습현상을 설명한다.
24. 문항내적 합치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정성계수라고도 한다.
2) 동형성계수라고도 한다.
3) Cronbach α라고도 한다.
4) Spearman-Brown공식에 의하여 구한다.
5) K-R(Kuder-Richardson)공식에 의하여 구한다.
25. 교육평등이란 교육받을 기회의 평등만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학생들이 학교를 떠날 때 학생들이 갖추고 있는 학력이 평등
해야 한다는 주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허용적 평등 2) 보장적 평등 3) 과정의 평등
4) 결과의 평등 5) 법률적 평등
26. 교육에 대한 갈등이론적 요소만으로 나열된 것은?
1) 사회화 교육기능, 문화유형 유지기능,적응적 기능
2) 학교의 부정적 기능 비판,문화 유형 유지기능,경쟁교육의
순기능
3) 경쟁교육의 순기능,통합적 기능,학교개혁과 사회개혁
4) 능력주의 비판,학교의 부정적 기능 비판,학교개혁과
사회개혁
5) 사회화 기능,교육의 관료체제 비판,문화유형 유지기능
27. 학력상승의 원인을 교육인플레현상으로 설명하는 것은?
1) 학습욕구이론 2) 신마르크스이론 3) 기술기능이론
4) 지위경쟁이론 5) 경제재생생산이론
28.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중에서 형식적 조작기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사고
2)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언어
3) 평면적이며 직관적인 사고
4) 감각과 동작에 의한 사고
5) 통찰에 의한 전체적 사고
29. 다음 중 복선형 학제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민주적 이념에 토대한 학제이다.
2) 미국형 학제라도 한다.
3) 모든 국민에게 개방된 단일체계의 학교제도이다.
4) 국민에게 평등하게 개방되지 않으면 계급적인 성격을 띤다
5) 각 단계의 학교는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30. 교수이론과 학습이론의 특징 및 관련성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교수이론은 설명적이고 학습이론은 처방적·규범적이다.
2) 다수의 교수이론에 의하여 하나의 학습이론이 형성된다.
3) 교수이론은 학습이론 구성의 필요·충분조건이 된다.
4) 학습이론에 의존하지 않는 교수이론도 개발될 수 있다.
5) 학습이론은 실제 수업장명에 적용될 수 있을 정도로 맥락
의존적이어야 한다.
31. 다음 중 공인타당도의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
1) 측정도구가 교과내용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고 있는지의
정도
2) 안면타당도라고도 함
3) 미래행동을 예측하는 정도
4) 검사결과와 현재의 다른 준거점수간의 상관정도
5) 한 검사의 이론적 가설에 대한 논리적인 검증과정
32. 교육의 정의를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라고 할 때 「계획」
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교육원리 2) 교육과정 3) 교육행정
4) 교육경영 5) 교육평가
33. 국가와 교육의 관계를 밀접하게 고려하고 있는 국가주의 교육
사상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국가주의 교육사상은 이태리파쇼나 독일나치의 교육이 그
전형적인 예이다.
2) 국가주의 교육사상은 공교육과 의무교육의 확대를 방해
하였다.
3) 국가주의 교육사상은 개인을 국가의 도구로만 생각한다.
4) 모든 국가주의 교육은 탈합리주의이며 전체주의이다.
5) 국가주의 교육사상에는 국민이 국가를 위하여 교육되어야
한다는 입장과 국가가 국민의 복지를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입장사이의 갈등이 있다.
34. 다음 중 고려시대의 공교육기관은?
1) 향교 2) 경당 3) 국자감 4) 태학 5) 12공도
35. Gagne의 수업이론에서 학습자의 내적 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1) 수업의 순서 2) 선행학습의 정도 3) 학습력의 전이
4) 강화의 정도 5) 교수자료의 조직정도
36. 교육에 대한 갈등론적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사회화와 선발은 학교의 본질적 기능이다.
2) 교육기회만 공정하면 학력에 따른 사회적 지위 수준의 차이
는 공정하다.
3)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경제적 지위의 차이는 정당하다.
4) 의무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5) 학교교육은 기존의 사회구조를 재생산한다.
37. 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 이론에서 제1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규칙은 정해진 의무이기 때문에 지킨다.
2) 상을 받기 위하여 규칙을 지킨다.
3) 벌을 피하기 위하여 규칙을 지킨다.
4)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기 위해 규칙을 지킨다.
5) 자친의 양심에 따라 규칙을 지킨다.
38. 우리나라 교육법의 기반이 되는 것은?
1) 홍익인간 2) 자유민주주의 3) 헌법
4) 인권사상 5) 전인교육
39. 정신연령(MA)이 20이고 실제연령(CA)이 18인 사람의 IQ는?
1) 90정도 2) 100정도 3) 110정도
4) 130정도 5) IQ를 짐작할 수 없다.
40.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를 강조하는 교육사회학 이론은?
1) 갈등이론 2) 기능이론 3) 신교육사회학
4) 발전교육론 5) 지위경쟁이론
'사무관참고자료(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 의미(전파....) (0) | 2007.05.07 |
---|---|
기출문제푸는요령(펌) (0) | 2007.04.13 |
입고시:06년도 (0) | 2007.04.13 |
헌사시:07년도 (0) | 2007.04.13 |
헌행시06년도 (0) | 2007.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