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절대 평가:평가의 기준을 교육 과정을 통해 달성하려는 수업 목표 또는 도착점 행동에 두는 목표 지향적 평가로, 성취율(%)로 표시하며 교수 기능을 강화하고 수업 개선을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2. 상대 평가:표준 점수 척도에 의거한 규준 지향적 평가로서 한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그가 속한 집단의 결과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나타내며, 개인별 비교와 선발 상황에 적합하다.
※ 절대 평가와 상대 평가의 비교
구 분 |
상대 평가 |
절대 평가 |
평가 기준 |
*상대적 순위(규준 지향 평가) |
*교육 목표(목표 지향 평가) |
교육관 |
*선발적 교육관 |
*발달적 교육관 |
지향 분포 |
*정상 분포 |
*부적 편포 |
강조되는 평가 도구 |
*신뢰도 |
*타당도 |
지향점
|
*규준 지향 측정 ┌ 개인차 변별 ├ 채점의 객관성 └ 엄밀한 측정 |
*준거 지향 측정 ┌ 수업 목표의 명세화 ├ 타당도 강조 └ 성취 기준의 설정 |
장 점
|
*선발 상황에 유리 *학습 동기 유발(경쟁심 이용) *통계적 처리 용이
|
*성취도 판단(수업의 질적 관리) (자격 인정에 유리) *건전한 학습 분위기 조성 *교육의 책임성 강조 |
단 점
|
*교육의 질에 둔감 *배타적 인간관 형성 |
*수업 목표 합의가 어려움. *통계 처리의 어려움. |
성적 표시 방법
|
*Z, T, Stanine, H, DIQ 점수 등
|
*성취율(%) (일정한 성취 수준 중시) |
용 도
|
*선발 상황
|
*자격 인정(면허 시험 등), 기초 학력 평가 |
'사무관참고자료(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평가모형 (0) | 2007.03.27 |
---|---|
조직풍토,교육행정관련 (0) | 2007.03.26 |
잠재, 표면교육과정 (0) | 2007.03.26 |
캐롤의완전학습모형 (0) | 2007.03.26 |
기출국가9급 (0) | 200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