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관참고자료(교육)

소피,소크라테스

KSYANG 2007. 4. 9. 15:52
 
▣ 소피스트(sophists)와 소크라테스(socrates)
 
? 소피스트(Sophists)
 
1. B.C.5세기 후반 아테네 시민들에게 웅변술(언변술)과 수사학을 가르치고 수업료를 받았던
   일련의 무리들(정식 교사)
2. 인간 중심주의 철학의 선구자
   ① 연구 대상을 자연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전환시킨 최초의 철학자
   ② 3차례의 페르시아전쟁(B.C.5세기경)에서 승리한 아테네는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할 필요성 대두됨
   ③ 그래서 자연에 대한 관심보다는 인간과 사회의 본질에 대해 더 큰 관심을 보임
3. '소피스트'의 의미 : ‘지혜가 많은 사람’, 즉 현자(賢者)
4. 처음에는 많은 칭찬과 존경을 받았지만, 후기 소피스트들은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변론하는
   처세술에만 관심을 가지고 보수를 받았기 때문에 궤변론자라는 비판을 받았음
   궤변이란, ‘말은 말인데 말 같지 않은 말’을 의미함.
   ex) 학생과 교사의 수업료에 대한 궤변 : 수업료를 내지 않는 학생이 있었다. 그 학생을
        불러 다음주 월요일까지 수업료를 내지 않으면 법정에 고소할 것이라고 했다. 월요일까지
        수업료를 내지 않아 결국은 법정에 고소하고 학생에게 말하기를, "너는 이제 반드시 수업료를
        내야 한다. 왜냐하면 내가 법정에서 승리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설령 내가 법정에서 패소
        한다 하더라도 너는 수업료를 내야 한다. 내가 패소한 이유는 네가 법정에서 배심원들에게
        말을 너무 잘했기 때문이고, 결국 내가 너를 가르쳤다는 사실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이다.
        따라서 내가 법정에서 이기든 지든 너는 수업료를 내는 것이 진리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학생이 말하기를 "제가 법정에서 지겠지만 혹시 이긴다면 민주주의 국가에서 법정의
        판결대로 수업료를 내지 않아도 되고, 패소하더라도 낼 이유가 없습니다. 제가 법정에서 진
        이유는 배심원들에게 말을 못했기 때문이고, 결국은 선생님에게 배운 것이 하나도 없다는
        분명하게 드러난 것이다. 따라서 제가 법정에서 이기든 지든 수업료를 낼 필요가 없습니다."
   ex) 세상에서 가장 빠른 아킬레우스라도 거북이 뒤에서 출발하면 결코 거북이를 따라
      잡을 수 없다는 제논의 궤변 : 세상에서 가장 빠른 아킬레우스라도 거북이를 따라잡을 수
        없는 이유는, 아킬레우스가 거북이 있던 곳까지 따라가면 거북이는 느리기는 해도 얼마간
        전진했기 때문이다. 또다시 아킬레우스가 거북이 있는 곳까지 따라온다고 하더라도 거북이
        는 조금이라도 전진했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이런 식으로 반복하기 때문에 아킬레우스는
        결코 느림보 거북이를 결코 따라잡을 수 없다는 궤변.
5. 대표 인물
   (1) 프로타고라스(B.C.481-411) : “인간은 만물의 척도(尺度)이다”
       ① 여기서 말하는 인간은 ‘나(self)’를 의미함
       ② 모든 가치판단 기준은 바로 ‘나 자신(self)’ 임을 강조
       ③ 즉, 개인의 감각적 경험과 유용성이 모든 가치판단의 기준이라는 의미
       ④ 따라서 절대적, 객관적, 보편적인 진리는 존재할 수 없고, 진리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을 강조한다.
       ⑤ 진리관 : 상대적, 주관적, 이기적, 회의적 진리관
   (2) 고르기아스: 진리인식 불가지론(不可知論)
       ①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진리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② 설령 존재한다 하더라도 우리는 그것을 알 수 없다.
       ③ 알 수 있다 하더라도 남에게 전달할 수 없다.
6. 소피스트의 사상은 다음과 같은 사상들에게 영향을 끼침
   (1) 17세기 영국 경험론
   (2) 미국의 실용주의 / 진보주의
   (3) 상대주의와 쾌락주의
 
7. 교육사상
   1)지식의내재적가치보다 도구적가치중시
   2) 개인주의적 교육론
   3) 웅변술중심교육
   4) 주지주의적 교육
   5) 인간중심교육
   * 절대 존재자 의 인정여부 ?  미인정 
 
? 소크라테스(B.C.470-399)
 
1. 생애
   ① 아버지(조각가), 어머니(산파)
   ② 아테네 광장에서 많은 청년들을 모아 놓고 진리에 대해 대화를 함(무보수로 가르침)
   ③ 세계 3대 악처 중의 한사람인 크산티페와의 결혼생활
   ④ 40세에 펠로폰네소스 전쟁(아테네와 스파르타간의 30년간의 전쟁-스파르타 승리)에 3번이나
      참가할 만큼 국가에 대한 충성심도 강했음
   ⑤ 그러나 당시 민주주의파들의 시기와 모함으로 감옥에서 독배를 들고 70세로 사형 당함.
       배심원들의 투표 결과 : 사형 찬성(281), 반대(210)
   ⑥ 소크라테스는 한 권의 책도 남기지 않았지만 그의 제자였던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변명』
      이란 책을 통해 스승을 소개하였다. 따라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사상은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2. 감옥에서 처형당한 이유
   (1) 형식적인 죄
        ① 청년 유혹죄 : 정식 교사도 아니면서 아테네 광장에서 청년들을 나쁜 쪽으로 유혹함
        ② 신 모독죄 : 소크라테스는 자기 뒤통수를 통해서 어떤 소리가 끊임없이 들려온다고
           했는데, 그 소리를 양심의 소리, 신(神)의 소리, 다이몬(Daimon)이라고 함. 그래서
           당시 아테네의 모든 사람들이 믿고 있었던 신을 모독했다고 고소함
   (2) 실질적인 이유
       ① 민주정치 지도자들을 비판하여 미움을 받았기 때문.
       ② 당시의 민주 정치가들은 선거와 제비뽑기를 통하여 장군을 선발하는 등의 폐단을
          드러내었고, 주요 공직은 자유 투표에 의해 선출되었는데, 유능한 사람보다는 말만 잘하는
          민중 선동가들이 배출되었다.
       ③ 위와 같은 민주정치가들을 비판하자, 민주정치가들은 민중을 선동함으로써 소크라테스를
          처형하였던 것이다.
       ④ 처형 前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모면할 수도 있었지만 당당하게 죽음을 맞이하였다.
          왜냐하면 죽음이란, 영혼이 육체로부터 해방되어 보다 확실한 진리를 인식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영혼은 죽지 않는다는 영혼불사의 사상을 주장하였다.
3. 진리관 : 절대적, 보편적,객관적 진리관
   ①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의 공통점 : 인간 중심주의 철학
   ② 그러나 소피스트의 상대적 진리관을 비판하고, 이성을 통한 절대적, 보편적, 객관적 진리
      발견이 가능하다고 주장 → 이성 철학의 선구
4. 교육방법 : 대화법 = 문답법 = 반어법 = 산파법
   “너 자신을 알라” (이 말은 원래 소크라테스가 한 말이 아니고, 아테네 델포이 신전의 중앙
     현관에 쓰여 있던 글을 소크라테스가 인용했다고 전해짐)
   ① 자신의 무지(無知)에 대한 자각을 촉구한 말로 ‘무지의 지’를 강조한 표현이고
   ② 참다운 지식(眞知)을 배우라는 적극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
   ③ 자신의 무지를 스스로 깨닫는 교육방법 강조
   ④ 악의 원인 : 무엇이 善이고 惡인지 모르는 無知 때문
5.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 : 주지주의(主知主義)
   ① 無知 때문에 惡이 발생하지만, 인간은 참다운 지식을 알고 있으면 알고 있는 지식대로 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주장
   ② 왜냐하면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기 때문에 알고 있는 지식대로 반드시 실천한다고 주장함으
      로써 주지주의를 강조함
   ③ 즉, 知와 行은 일치한다.
   ④ 이러한 소크라테스의 주지주의 철학은 플라톤까지 그대로 이어짐.
6. 지덕복합일설(知德福合一說)
   ① 이성을 통해 얻은 참된 지식을 기초로 해서 덕을 쌓으면 행복을 실현할 수 있다.
   ② 나중에 키닉 학파(금욕주의)와 키레네 학파(쾌락주의)에게 영향 끼침
7.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의 비교
   ① 소피스트   : 상대적 진리관, 경험론과 실용주의 사상에 영향 끼침
   ② 소크라테스: 절대적 진리관, 이성 중심의 철학에 영향 끼침
   ③ 공통점 : 자연보다는 인간 중심의 철학 사상을 전개한 점
 
* 참고
이소크라테스 / 기원전 4세기 혼탁한 그리스를 구원하고자한 정치지도자
- 훌륭한 웅변가 양성, 수사학교설립(기원전 392년), 다른사람과 논의할 수 있는 기회제공,
- 당대의 역사적 사건에서 온갖 주제들에 대해 글을 쓰고 발표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