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관참고자료(교육)

발달개요(흐름)

KSYANG 2007. 10. 30. 15:13
 

 

 1.  정신 역학적 발달 이론을 소개하시오. 프로이드 이론의 기본 개념과 발달 단계를 설명하고, 프로이드 이론이 유아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 보세요. 그리고 어떻게 유아 교육에 적용시킬 것인지 말해 보시오.  에릭슨 이론의 기본 개념과 발달 단계를 소개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세요. 에릭슨 이론을 추종하는 교사라면 유아 교육을 할 때 특별히 어떤 부분에 신경을 쓸 것인지 말해 보세요. 그리고 프로이드 이론과 에릭슨 이론을 비교 설명해 보세요. 당신은 어느 이론이 더 좋은 이론이라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해 보세요.


2. 행동주의 이론의 대강을 소개하시오. Skinner 이론과 Bandura 이론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신행동주의 이론이 왜 나왔을까요? Skinner이론의 입장에서 유아교육을 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Bandura 이론을 교육에 적용시키려 합니다.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이 이론의 강점은 무엇이고, 약점은 무엇입니까?


 3.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을 소개하시오. 구성주의적 인지발달 이론이란 말의 의미를 설명해 보세요. Piaget는 학습과 발달의 관계를 어떻게 보았습니까?  Piaget 이론을 따른다면 아동의 각 발달 단계마다 우리 성인들은 아동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도와 주어야 할까요? Piaget이론을 따른다면 어떤 방법으로 유아 교육을 해야 할까요? Piaget 이론의 가장 큰 약점은 무엇입니까?


4. Vygotsky의 인지 발달 이론의 기본 개념을 설명해 보세요. Vygotsky 이론을  ①사회, 문화, 역사적 발달 이론, ②사회, 문화적 이론,  ③사회적 상호 작용주의 이론이, ④사회적 구성주의 이론, ⑤사회적 인지주의 발달 이론이라고도 합니다. 이렇게 불려지는 이유를 말해 보세요. Vygotsky이론의 기본 개념 중 근접발달 영역이란 말이 있습니다. 이 개념을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지 설명해 보세요. Piaget이론과 Vygotsky이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설명해 보세요. 어느 이론이 더 마음에 듭니까? 그 이유를 설명하세요.


5. 생태학적 인간 발달 이론의 대강을 소개하시오. 생태학적 발달 이론을 교육에 어떻게 적용시키겠습니까? 발달, 교육, 환경의 관계를 설명해 보세요.


6. 영아기(0-2세) 아동의 발달 특성과 과업을 설명하시오. 그리고 이 시기 아동을 위해 우리 성인들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요?


애착이란 무엇이고, 건전한 애착 관계 형성이 왜 필요한가요?  직장을 가질 수밖에 없는 엄마들은 자녀와의 건전한 애착관계 형성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요? 우리 사회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영아의 신뢰감 형성을 위해 우리 성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7. 유아전기(2-4세) 아동의 발달 특성과 과업을 설명하시오.  그리고 이 시기 아동을 위해 우리 성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유아의 자율감 형성을 위하여 특별히 신경써야 할 것들은 무엇인가요? 충동억제, 언어발달, 환상적 놀이 등은 유아의 자율감 형성과 어떤 관계가 있나요? 유아의 충동억제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성인들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요? 언어 발달을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요?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성인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을 생각해 보세요.


 8. 유아후기(4-7세) 아동의 발달 특성과 과업을 설명하시오. 그리고 이 시기 아동을 위해 우리 성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유아의 주도성을 길러 주기 위해 우리 성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유아의 주도성을 길러주기 위한 유치원의 교육 방향에 관해 기술해 보시오. 유아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고, 탐색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열거해 보세요. 탐색 활동과 유아의 주도성과는 어떤 관계가 있습니까? 유아의 놀이는 어떻게 변해야 합니까? 유아의 성역할 개념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9. 아동기(7-11세)의 발달 특성과 과업을 설명하시오. 그리고 이 시기 아동을 위해 우리 성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아동의 근면감 형성을 위해 우리 성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아동의 성취 동기를 길러주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나요? 부모나  교사, 그리고 기타 성인들의 기대는 왜 필요합니까?



1. 발달 심리학의 기초(1, 2, 3주)


   (1)심리학이란?   (2)발달의 의미   (3)발달심리학이란?   (4)발달심리학의 주요 과제


   (5)발달의 원리   (6)발달심리학의 두 가지 관점   (7)발달심리학의 역사


 


2. 발달이론(4, 5, 6, 7, 8, 9주)


  (1) 정신역학 이론(Freud, Erickson)  (2) 행동주의 이론(Skinner, Bandura)


  (3) 인지주의 이론(Piaget)  (4) 사회·인지주의 이론(Vygotsky)


  (5) 생태학적 이론(Bronfenbrenner) 3. 발달의 제영역 (no lecture)


  (1)지적 발달  (2)언어 발달  (3)정의적 발달  (4)사회성 발달


4.시기별 발달과업과 교육적 적용(10, 11, 12, 13, 14주)


  (1)영아기(0-2세)  (2)유아기Ⅰ(2-4세)  (3)유아기Ⅱ(4-7세)  (4)아동기(8-12세)


 제 1 부 : 발달 심리학의 기초


1. 발달의 의미


* 발달이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인간에게 일어나는 질서 정연하면서도 순차적인 모든 변화의 양상과 과정을 의미한다.


 *변화에는 양적 변화(quantitative change)와 질적 변화(qualitative change)가 있다.

2. 발달심리학의 개념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일어나는 모든 변화의 양상과 과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간 변화의 양상을 그려내고, 변화의 원인과 기제(mechanism)를 찾아내는 것이 발달심리학의 목표이다.


 3. 발달심리학의 주요 과제


*발달 심리학의 주요 과제는 발달의 현상을 기술하고 발달 기제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 네 가지이다.


①기술②설명③예측④개입


 4. 발달심리학을 공부하는 이유


①To understand the changing organization of wishes, opinion, anxieties, and skills that are present at different phases of the life cycle. In order to understand why a child of a given age behaves as he does, we must know how his motives, fears, and beliefs are organized.


② 유아시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나중 시기의 행동을 예측하게 한다.


 ③ 인간이 가진 기술, 지식, 정서, 동기들이 유아시부터 발달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5. 발달의 원리


① 발달은 순차적으로 그리고 질서 정연하게 일정한 방향을 향하여 일어난다.

② 발달은 모든 사람들이 똑 같이 일정한 방향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그리고 질서 정연하게 일어나지만 발달의 속도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③발달의 제 영역은 상호 관련되어 있다. 한 영역의 발달에 장애가 일어나면 다른 영역의 발달에도 영향이 있다.


④발달에는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s)가 있다.

⑤발달은 분화와 통합의 과정으로 일어난다.

⑥ 발달은 성숙과 학습의 산물이다.

 

  유전과 환경의 논쟁은 교육자로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6. 발달에 대한 두 관점


1) 유기론적 관점

2) 기계론적 관점


·기계의 일에 비교됨

·환경적 자극과 행동간의 관계에 초점


7. 발달 심리학의 역사


* 발달심리학의 역사는 결국 발달이론의 역사이다.

* 이론은 문화적 가치와 그 시대의 신념체계에 영향을 받는다.


1)중세(6세기 ? 15세기)

-아동기를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음

-연령의 개념이 별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음

-아동의 독특성에 관해서는 무관심


2)개혁기(the reformation, 16세기)

-종교운동, 아동기의 새로운 이미지, 청교도 정신, 원죄설

-아동은 깨어지기 쉬운 존재이며, 하나님만이 이들을 보호하실 수 있다.


3)계몽기(Philosophies of the enlightenment, 17세기)

-아동기의 개념이 출현

-John Locke(1632 ? 1704) ; viewed the child as 'tabula rasa','blank slate', or 'white

  piece of paper' 즉, 아동은 원래부터 악한 존재가 아니다.

-기계론적 발달관을 가짐


 4)Jean Jacques Rousseau(1712 ? 1778, 18세기)

-new theory of childhood

-아동은 네 가지 단계를 거친다

①infancy,  ②childhood, ③late childhood, ④adolescence


- 현대이론에 적용된 두 가지 개념을 만들어냄

① the concept of stage

② the concept of maturation

-유기체론적 발달관을 가짐

5)다아윈의 진화론(19세기)

-아동연구의 과학적 기초

-그의 이론에서 두 가지를 강조

① natural selection, ②survival of the fittest

-적응적 기능, Piaget가 영향을 받음.

-인간발달을 진화의 과정으로 봄

6)과학적 연구의 시작(20세기 초)

-아동을 대상으로 처음으로 연구가 시작됨

-19세기 말 Darwin과 Preyer가 제일 먼저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의 biograhies를

기록하기 시작

①Preyer

 -즉각적인 기록, at regular intervals방법의 기록

 - Hall과 Arnold Gessell이 진화론에 기초하여 본격적인 아동 연구를 하기 시작 ?

   genetically determined unfolds automatically

 ②Hall

- Biographies의 결점을 보완키 위해 normative approach를 하기 시작(measurements  of 

③Gessell

-처음으로  아동 발달에 관한 지식을 체계화 함(descriptions of motor

 achievement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각 연령에 기대되는 행동 특징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 부모의 불안, 고민, 걱정을

 들어주고자 함

④Alfred Binet(1857 ? 1911)

-the ental testing movement 시작

-특별교육이 필요한 retarded children을 찾아내기 위한 검사개발?최초의 성공적인 지능검사

 ⑤James Mark Baldwin(1861 ? 1934)

-Early developmental theorist

-Adopt a balanced view of child development both nature and nurture were granted

 equal importance. 성숙과 양육 둘 다를  강조


  7)20세기 중기(제2부에 해당, 다시 강의 할 것임)

- 1933년에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아동발달 연구 협회)가 발족


   ? Child Development


-여러 가지 이론들이 출현하기 시작. 오늘날까지 계속되는 이론들이 많음



(1)정신 분석이론(Freud, Erikson)    (2)행동주의이론(Skinner, Bandura, Sears)


(3)인지발달 이론(Piaget, Bruner, Kohlberg)  (4)사회 인지주의 이론(Vygotsky)


(5)생태학적 이론(Bronfenbrenner)



8. 간단한 질문과 토론


① 아동 발달 연구의 목적을 기술하시오.


② 아동 발달 연구는 왜 과학적이어야 합니까?


③ 발달의 두 관점, 즉 유기론적 관점과 기계론적 관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그리고 이 두 관점을 교육자인 당신은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기술해 보시오.


④ 중세 시대는 아동에 대해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었는지요?


⑤ 아동 발달에 관한 John Locke와 Jean Jacques Rousseau의 세 가지 중요한 이론적 관점의 차이를 설명해 보시오.


⑥ 수업 시간에 '발달의 원리' 6 가지를 소개했습니다. 교육자인 당신은 이 원리들을 교육에 어떻게 적용하시겠습니까? 하나 하나의 원리들을 열거하면서 설명해 보시오.


⑦ 발달 심리학의 주요 관심이 아동기, 청년기에만 머물지 않고 생애 발달(life span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쪽으로 연장된 것은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합니까? 발달 심리학을 접근해 들어가는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해 보시오.


⑧ 발달을 규정하는 요인으로는 크게 유전 요인과 환경 요인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이 두 요인과 관련한 논쟁을 교육자로서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습니까? 당신의 견해를 서술해 보시오.

                                                                                       제 2 부 :   발달 이론


Ⅰ. 서론


1. 이론의 의미


 - 이론이란 어떤 현상을 설명해 주는 설명의 체계이다.


2. 좋은 이론의 특성


① 유용성과 응용 가능성  ② 명시성  ③ 결속성과 일관성 ④ 설명력과 증명 가능성


⑤ 단순성과 명료성


Ⅱ. 정신역동 이론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1) 인간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년 탄생


·lived most of his life in Vienna.


·become a physician


·1885년 went to Paris, where Jean Martin Charcot로부터 hysteria, emotional disorder를 공부하기를 권유받음.


·Jean Martin Charcot의 최면술 사용 방법에서 의사가 환자의 무의식을 안다고 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없고, John Brewer의 talking cure 방법에서 무의식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의식적인 문제만을 다루어서 정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음.


(2) 프로이드 이론의 기본 개념


①인간의 정신세계


·인간의 정신세계에는 의식세계와 무의식 세계가 있다고 봄


·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


② 성격의 세 체계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


③ 자아의 방어기제


·방어기제는 무의식 속에서 진행되는 심적 과정이다.


· 억압, 치환, 퇴행, 부정, 반동, 투사, 동일시, 승화, 주지화 등


               

(3) 심리성적 발달 단계


①. the Oral stage(구강기)


a. time period : 0세 ∼ 18개월


② the Anal stage(항문기)


a time period : 18개월 ∼3세


③ the Phallic stage(남근기)


a. time period : 3∼7세


④. the latency stage(잠복기)


a. time period : 7-11세


⑤. the genital stage


a. time period : 11세 이상





(4) 프로이드 이론의 평가


·임상심리학이나 심리치료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음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설파함으로써 유아교육에 불을 붙임


·인간의 성적 욕망을 지나치게 강조했다는 평을 받음



2.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accepted Freud's basic psychosexual framework 그러나 두 이론은 상당한 차이가 있음


·발달 단계를 더 연장시킴


·사회적 경험을 강조


(1)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심리·사회적 위기의 개념'과 '양극성의 개념'(the concept of polarity)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2)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① 신뢰감 대 불신감이 형성되는 단계(trust vs. mistrust,  0∼1세)


② 자율성 대 수치심이 형성되는 단계(autonomy vs. shame, 2∼3세)


③ 주도성 때 죄책감이 형성되는 단계(initiative vs. guilt, 4∼5세)


④ 근면성 대 열등감이 형성되는 단계(industry vs. inferiority, 6∼11세)


⑤ 정체성 대 정체적 혼미를 형성하는 단계(identity vs. role confusion, 12∼18세)


⑥친밀감 대 고립감이 형성되는 단계( intimacy vs. isolation, 18∼24세)


⑦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tagnation, 24∼54세)


⑧ 통정성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 over 54세)



(3) Erikson 이론의 평가


① 교수 방법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주고 있다.


② Although Erikson does not neglect the powerful effects of childhood experience, he draws our attention to the continual process of personality development that takes place throughout the life span


③ Erikson's eighth stage(integrity vs. despair) is too global and nonspecific.


④ the theory won considerable acclaim in both clinical and academic circles



★ Erikson과 Freud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Freud                                                Erikson


        --------------------------              -----------------------------               


         심리·성적 발달이론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인간의 본질적 발달                                사회 속에서 인간발달


         원초아를 중시하고 이를 분석                   자아를 중시하고 이를 분석


         무의식적 동기를 중시                문화적 요인과 교우간의 사회적 접촉을


                                                 통한 사회화의 기능을 중시


         자녀·부·모 삼각관계                  가족·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의 인간관계


         인간에 대한 비관적 견해                    인간에 대한 낙관적 견해


         무의식의 실재와 이것의 작동력             인간의 잠재 가능성


         인간은 무력한 존재       인간은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가짐  


         병리적 인간 발달의 원인을      인간의 사회적 요구와 그것을 극복해 나가는


         규명함으로 이론을 발달시킴        인간모습의 관찰을 통해 이론을 발달시킴



 ★ 정신역동 이론의 기여와 제한점


① 개인의 독특한 생활사를 중요하게 다룸


② Accept the clinical method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gather information about development.


③ psycho-analytic theories and findings have stimulated a wealth of research on many aspects of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ncluding infant-mother attachment, aggression, sibling relationship, child-rearing practices, morality, gender roles and adolescent identity.


④ isolated from the rest of the field


⑤ 기본적 개념들이 너무 애매 모호. 즉 경험적 증명이 불가능하다.



Ⅲ. 행동주의 이론


1. Watson의 고전적 조건 이론


·미국의 행동주의는 John Watson(1878∼1958)에서부터 시작


·Watson은 심리학을 객관적인 과학이 되도록 애씀. 눈에 보이는 것을 대상으로 하려고  시도


2. Skinner의 조작적 조건 이론(Operant conditioning theory)



·E. L. Thorndike(1898)의 instrumental conditioning에서 유래

·dog   ⇒  지렛대  ⇒  food


  강화에 따라 반응의 빈도가 결정


* 강화는 두 가지가 있다.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이다. 긍정적 강화는 강화물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바람직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조건화시키는 것을 말하고, 부정적 강화는 강화물을 철회시키거나 어떤 자극을 주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줄어들게 하는 것을 말한다.


* 사회적 강화와 물리적 강화



3. Bandura의 사회학습 이론


·사회 학습 이론은 1950년대 아동 발달 이론의 주를 이룸


·몇 가지 이론이 나옴. 그 중에서 Bandura이론이 두각을 드러냄


·아동의 행동에 observational learning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


·직접적 reward나 punishment가 없이도 반응을 획득한다고 믿음



4. Robert Sears의 학습 이론


(1) Sears' life and professional history



(2) Sears' amplification of learning theory


·focuses upon those aspects of behavior which are overt and can be measured


·emphasis on reinforcement and secondary drive


·사회적 학습, 무한한 학습 가능성을 믿고 인간에 대해 낙관적


·부모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함


·개인의 성격 차이는 부모의 양육 방법의 차이에서 온다고 봄



(3)인간 행동의 원인론 주장(Etiology of behavior)


·하나의 행동은 또 다른 행동의 원인과 결과가 된다.


·일차적 욕구가 행동의 시발


 ·behavior is self motivated by its tension



① Phase Ⅰ : 0∼1½세


· Rudimentary behavior


·사회화이전 단계


·인간의 기본적 욕구에 따라 행동하는 단계


·욕구의 즉시적 만족추구



②Phase Ⅱ : 1½세 ∼ the age he enters school


·Secondary motivational systems


·2차적 동기 조직이 형성되는 시기. 그러나 일차적 욕구가 계속 동기화에 영향을 미침.


·family centered learning


·사회화 시작




③Phase Ⅲ : from the age of entering school


·Secondary motivation system


·Extra-familial learning


·ready a absorb from a world which lies beyond that of his family


·세상을 받아들이기 시작


·approximately at age 5, the child's dependency becomes reduced to specific areas of family living


·독립심이 생기기 시작


·5살까지, 동일성을 가진 부모로부터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음


·결국, 인간 발달의 과정은 사회화의 과정이라고 봄




★ 행동주의 이론의 평가


① 짧은 시기 동안에 일어나는 변화에만 관심. 단기적인 변화는 쉽게 관찰될 수 있고 평가될 수 있다. long term effects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② 교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 협의의 개념으로 보았다.


③ 너무 기계적이고 단순하다. 인간 행동은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달려 있다.


④ 상황에의 의미 부여는 여지가 없다.


⑤ 학습의 목표는 개인에 따라 달라야 한다. 인간은 목표와 필요에 따라 학습의 결과가 다를 것이다.


⑥ 심리적 과정은 직접 관찰될 수 없다. 유추가 필요하다.




Ⅳ. 인지발달이론(상호작용주의 이론, 구성주의 이론)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1) Piaget이론의 안내


인간 Piaget : biography and basic ideas


- was born on August 9, 1896 -1980 9월 쯤


- He became curious to discover the answers the some of the basic questions of the disciplines


         ● What is knowledge?


         ● How is it acquired?


- 철학에서만 그 해답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앎


 an idea is only an idea, while a fact is only a fact. The philosophical approach was too speculative, and the scientific approach was sometimes too factual. what was needed was a linkage between the two, biology and epistemology.


-정신 분석학과 아동 심리학의 관계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1920년에 출판


-30권의 책, 200개의 articles on cognitive development



(2)Piaget가 주장하는 핵심 개념


  1. 사고의 구조와 내용


  2. 지능


  3. 유전적 구조 와 심리 구조


  4 발달 기제(①평형화의 개념, ②적응기제 ; 동화와 조절, ③조직기제)



① 사고의 구조와 내용


-develop a standardized reasoning tests


-사고(추리, reasoning, 결론에 도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정보들을 변환하는 과정)


-he found that the same wrong answers occurred frequently in children of about the same(같은 연령의 아동은 같은 과오를 범하더라)



② 지능


- 다음 두 가지를 이해하도록 노력


* he nature of intelligence


* its structure and functions of intelligence



③ 유전적 구조와 심리 구조


-Hereditary transmission of physical structures


  ·nervous system


  ·automatic behavioral reaction, 자율행동 반응, 예, suck, ability to cry



④ 발달기제


-인지기능(조직과 적응)과 심리적 구조(발달단계)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adaptation의 두 요소인 assimilation & accommodation은 보상적 관계에 있으면서도 동시에 나타난다.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이 두 과정의 평형화는 필수적 요건이다.


   ★ organization


   ★ adaptation


   ★ schema



(3) 발달단계


개인이 일생동안 인지 기능은 같으나 구조는 변화며, 그 변화는 규칙적인 계열성을 따른다. 개인의 인지 발달은 일련의 단계(각 단계는 심리적 구조를 가짐)를 통해 진화한다.



 1) 감각운동기(sensori motor period ; 0-2세)


-discov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ensations and motor behavior


-learn that their hand is part of themselves, whereas a toy is not


- learn how far they need to reach in order to grasp a toy


-the main feature of this stage is the child's mastery of the principle of object permanence



2) 전 조작기(the pre-operational period ; 2세-6,7세)


-상상적 사고가 시작


-imaginative and egocentric logic begin


-vocabulary develops from 200 to 2000 words


-literal and limited interpretation of language develops and becomes more sophisticated through constant questioning(언어의 문자적 해석)



3)구체적 조작기(the concrete operational period : 7세-11세)


-this is the beginning of rational activity in children


-they come to master various logical operations including arithmetic, class and set relationship, measurement, and conceptions of hierarchical structure


-the child's growing ability to 'conserve' mass, weight, number, length, area, and volume



4) 형식적 조작기(the formal operational period : 11세 이상 )


-children acquire more ability to deal with abstractions


-the adolescent can engage in hypothetical reasoning based upon logic


   예, If cool is white, snow is___


-ability to think abstractly develops



(4) Piaget 이론의 평가


① Piget의 관찰력이 탁월하다.


② 자연적 상태에서의 영아관찰은 실험실에서 밝혀내기 어려운 현상의 발견이 가능하다.


③ 관찰대상 아동과의 친숙도는 아주 미세한 영아의 행동을 해석하는 데 통찰력을 제공




Ⅴ. 사회 인지발달이론



1.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역사 이론



(1) 인간 Vygotsky


- Lev Semenovich Vygotsky는 러시아 서쪽에 위치한 항구도시 Gomel에서 1896년 태어남.


- 은행원 아버지, 교사인 어머니, 7명의 형제.


- 어려서부터 토론하기를 좋아함.


- Gesell, Werner, Piaget의 초기 저서들을 읽고 그들이 강조한 내적 인지 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을 뿐 아니라 사회 역사적 맥락 내에서의 발달을 고려하기 시작


- 폐결핵으로 인해 그의 삶이 다해 가는 것을 알고 있던 Vygotsky는 무서운 속도로 일을 하기 시작함.



(2)Vygotsky이론의 기본 개념


①생각하는 법, 행동하는 법


②고등 정신 기능(higher order mental functioning)


③개인간 심리 기능에서 개인내 심리 기능으로  내면화(internalization)


④근접발달 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⑤direct teaching 강조


⑥Piaget vs Vygotsky 둘다 인간을 active한 존재로 봄 Vygotsky는 사회적 구성주의자


  언어발달에 대한 차이


⑦socially mediated process 강조  언어, 기호, 도구


⑧same sequence로 발전해 간다고 믿지 않음. 변증법적 인간 발달 강조


 continuous, step by step, 주변 환경을 이해하지 않고 아동 발달을 이해 할 수 없다


⑨행동 생각의 의식적 통제 기능(executive functioning)


⑩어떤 문화의 가치, 신념, 관습 기능이 어떻게 전수되는가?



(3) Vygotsky의 개념적 사고의 발달 단계


-개념적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하고 각각의 단계는 일련의 하위 단계를 거치게 된다.



제 1단계 : 혼합적 심상 사고(Phase of syncretic images)


①시행 착오 단계(trial and error stage)


②지각적 단계(perceptual stage)


③재구성 단계(composite stage)



제 2단계 : 복합적 사고(Phase of complex)


①연합단계(associate stage)


②집합적 단계(collection stage)


③연쇄단계(chaining stage)


④확산단계(diffuse stage)


⑤유사개념단계(pseudo-conceptual stage)



제 3단계 : 개념적 사고(Phase of concepts)


①최대 유사성의 단계(stage of maximal similarities)


②잠재적 개념의 단계(stage of potential concepts)


③순수 개념의 단계(stage of genuine concepts)




●문제



① 프로이드와 에릭슨 이론을 비교 서술하시오.


② 프로이드와 에릭슨은 인간의 성격발달이 어떻게 이루어진다고 설명하고 있습니까? 그 설명에 동의하십니까? 동의한다면, 왜, 아니라면 왜 아닌지 설명해 보시오.


③ 유아가 건전한 성격의 소유자로 자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모, 교사, 그 밖의 성인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입니까?


④ 프로이드와 에릭슨이 말하는 외에 인간의 성격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⑤ 스키너는 인간 행동 발달을 자극과 반응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극과 반응 이론은 인간 행동 발달을 잘 설명해주는 이론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렇다면, 왜, 아니라면 왜 아닌지 설명해 보시오.


⑥ 밴두라의 이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입니까?


⑦ 인간의 건전한 행동 발달을 위하여 행동주의 이론(신행동주의 포함)을 적용하려고 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제 3부 발달의 제 영역



Ⅰ. 지적 발달(지각, 지능, 기억, 수 개념 발달)



1. 지각 발달



1). 지각의 개념


-정보가 인지에 입력되기 위해서는 감각정보의 처리가 일어나야 하고, 감각정보의 확인을 위해서는 개별 신경뉴런의 활동을 통합하고, 해석하는 과정이 일어나야 한다. 감각정보의 통합과 해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지각과정이라고 한다.



2). 감각 과정의 성격


-어떤 형태의 에너지가 눈이나 귀와 같은 감각 기관에 있는 수용기 세포(receptor cell)를 자극한다.


-충분한 에너지가 주어지면 수용기는 부호화된 전기 화학적 신호(electrochemical signal)를 보내는 반응을 한다.


-신호로부터 대뇌는 감각적 경험을 만들어 낸다.



3). 지각의 조직화


-지각 조직화의 원리는


①인접 원리


②유사성의 원리


③폐쇄성의 원리


④연속성의 원리



4). 지각의 항등성


-감각 정보는 변화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대상들을 비교적 안정적이고 변화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지각하는 경향성을 지각 항등성(perceptual constancy)라 한다.



5). 지각 현상의 문제


-관찰자의 특성


-우리들의 욕구(desire)와 요구(needs)는 지각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지각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가치(value)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지각 친근화, 지각 일반화



6). 두 지각관(구성론과 형태론)


-①구성론자들은 감각들을 경험함으로써 관념들이 구성된다고 했다. 이 주장은 '제 눈의 안경'식의 지각에서 세상을 보는 우리의 안경이 경험을 통해서 착색된다는 것이다.


-② ①과는 대조적으로 Kant는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a Priori(선험)을 갖고 있어서 세상으로 인식하는 공간적(space), 시간적(time), 인과적(causality), 범주(category)를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즉 우리의 인식 기제가 경험으로 조율될 수 없다는 것이다.


-구성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지각을 schema검증의 과정으로 보고 실험적 증거들을 제시하였다.


Schema는 어떤 대상에 기대되는 의미나 가설적인 정체이며 이것은 지각적 경험에 의해 이미 구성된 것이다.


-구성론과 대비되는 관점은 형태(gestalt)론이다.  형태론은 우리가 대상을 볼 대 그 물리적 속성을 초월하게 하는 지각의 체제화가 세상에 대한 경험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고 한다.


-지각의 체제화는 근접성(proximity), 유사성(similarity), 연속성(continuity) 등이다




2. 지능 발달



1). 지능의 개념



-Terman : 지능은 추상적 사고를 수행하는 능력


-Wechsler : 개인이 목적에 따라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



2). 지능 이론



★ 초기 지능 이론


① C. Spearman 이론


-지능이란 모든 행동이 흘러나오는 매우 일반적인 일종의 정신 에너지의 원천


-일반지능(G-factor)과 특수 지능(S-factor)으로 구분


-그래서 양요인설 혹은 이요인설이라고 부른다.



② L. L. Thurstone


-7개의 기초적 정신 능력(primary mental abilities, PMA, 1938)


   S(spatial ability) : 공간 능력


   M(memory) : 기억


   I(inference) : 추리력


   P(perceptual speed) : 지각 속도


   W(Word fluency) : 단어 유창성


   N(numerical ability) : 수리 능력


   V(verbal meaning) : 언어적 의미



③ J. P. Guilford


-정신 능력을 세 가지 기본적인 종류로 구분


6개의 조작(operation) 차원 : 사고 활동


    (인지, 기억,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평가)


5개의 내용(contents) 차원 : 우리가 사고하는 단어와 상징 같은 것


    (도형, 상징, 어의, 행동)


3개의 산출(products) 차원 : 우리가 제안하는 착상


    (단위, 유목, 관계, 체계, 변환, 함축



④ R. B. Cattell


-결정적 지능(結晶的 知能,  crystallized intelligence)


  → 추리, 언어적 기술, 수리적 기술, 학교에서 강조하는 능력, 경험 및 공식적인 교육의 영       향을 많이 받음.


 


-유동적 지능(유동적 지능, Fluid intelligence)


  →공간적인 심상, 시각적인 심상, 시각적인 세부 항목에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 및 기계적      인 기억, 경험 및 교육의 영향을 덜 받는다.


  



★ 대안적 지능이론


⑤ R. Sternberg의 지능의 삼원이론(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


- 지적 능력의 실용적 측면을 강조한 지능의 삼원이론을 제시.


-지능의 3원설(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


 성분적(componential) 측면


 경험적(experiential) 측면


 맥락적(contextual) 측면



⑥Gardner의 다면적 지능이론


-인간의 지적 능력이 서로 독립적이며 상이한 여러 유형의 능력으로 구성된다는 다면적 지능이론을 제시


-Gardner가 제시하는 7개의 지능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음악적 지능   


  개인간 지능   


  개인내 지능   


-아동의 지적 능력 발달을 이해하고 지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가능한 일찍부터 개개 아동이 지니고 있는 특수한 능력을 바르게 진단하고 교육을 통해 이를 촉진하는 데 있다.



⑦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



- 근접발달영역은 지능검사점수나 학업성취도 등 아동이 현재 스스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 발달 수준(level of actual development)과 자신보다 인지적으로 유능한 성인이나 또래의 도움을 받아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잠재적 발달 수준(level of potential development)간의 격차를 의미한다.



3). 지능의 진단(지능 검사)



★ Stanford-Binet 지능 척도


- 최초의 지능 검사 :


- Alfred Binet와 Theodore Simmon에 의해 프랑스 공립학교 제도를 위해 고안



-Stanford 대학의  L. M. Terman에 의해 1916년 Binet-Simmon 검사를 개정, Stanford -  Binet 검사라고 이름 붙임


-평균 지능을 가진 개인에게 100점을 줌


-Stanford-Binet 검사는 개별 검사다. 면접과 유사.



★ Wechsler 지능 척도


①Wechsler 성인용 지능 검사(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 revised ; WAIS-R)


②Wechsler 아동용 지능 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revised ; WISC-R)


  6세에서 16세 아동을 대상


③Wechsler 입학전 및 유아기 아동 지능검사(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 WPPSI) 4세에서 6세 6개월 아동 대상




★ 수행 검사와 문화 공평 검사


① 수행 검사(performance test)


② 문화공평검사(culture-fair test)


③ 카우프만 아동용 진단검사(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 K-ABC)


④베일리 유아발달 척도(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 Baley, 1969)



4). 지능의 발달


①지능구조의 변화


②지능의 안정성



5). 지능발달의 개인차


①유전적 요인


②환경적 요인



6). 지능 검사의 비판


①지능 검사들이 매우 협소한 일련의 기술들, 즉 수동적인 언어 이해, 지시를 따르는 능력,     상식, 학업적성 등에만 관계된다고 비판


②지능 검사의 내용과 실시에 있어서 소수 집단을 차별하고 있다.


③지능 검사들이 학업 수행을 예측하고 과거의 학습을 반영하는데 유용하다 할지라도 측정하지 못하는 것들이 많이 있다. 예컨대 동기, 정서, 및 태도


④검사편향가설(test bias hypothesis)



7) 지능 점수의 활용


-지능의 극단을 상위 1,5%와 하위 1.5%로 봄


-정신 지체의 수준들


-교육과 훈련을 통해서 지체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단계가 있다.


3. 기억 발달



아동의 기억 발달을 이해하기 위하여 우선 인간의 기억 과정과 지식구조에 관한 기본 개념들을 알아야 한다.



1). 기억과정과 지식 구조



(1)기억과정


- 인간의 기억과정은 ①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기명(sensory register) 과정, ②받아 들인 정보의 저장과정(storage), ③저장된 정보를 꺼내 쓰는 인출(retrieval) 과정이 있다.



① 감각기명과정 : 필요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를 선택적으로 부호화하는 것.


②정보 저장과정 : 중다장치모형과 처리수준모형이 있다.


③인출 과정 : 재인(recognition)과 회상(recall)과정으로 구분



(2)지식구조


-장기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구조


-저장된 지식이 새로 들어오는 정보의 처리와 저장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지식기반(knowledge base)이라는 말을 사용함


-인간의 장기기억구조와 그 기능은 상당한 발달적 변화를 겪음.


-일화적 기억(episodic memory)과 의미적 기억(semantic) 조직으로 설명


-일화적 기억은 일상의 경험 내용으로 구성. 사건이 일어나는 순서에 따라 계열화하는 도식구조(schema structure) 또는 사태도식(event schema)으로 저장.


-아동의 인지적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추상적인 일반적 지식으로 변하면 의미적 지식이 됨


-인간의 기억은 사진을 찍는 것과 같은 단순한 모사가 아니라, 저장된 정보가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변용됨. 따라서, 인출된 정보는 부호화되는 당시의 정보와 다른 형태로 나타남.


-기억구조가 이렇게 변용과정을 겪기 때문에 구성기억(contructive memory)이라 말함.



2). 기억발달


(1)재인기억과 회상 기억의 발달


①재인기억의 발달


②회상 기억



(2)기억방략의 발달


①주의집중과 배분능력의 발달


②시연방략(rehearsal strategy)의 발달


③조직화방략(organization strategy)의 발달


④정교화방략(elaboration strategy)의 발달


⑤인출방략(retrieval strategy)의 발달



3) .지식구조의 발달


-아동의 머리 속에 지식들은 어떤 모양으로 자리잡고 있는가?


-아동이 정보를 관련지워 저장하는 형태는 모든 연령에서 동일한가 또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적 변화를 보이는가?


①표상의 형성


②지식구조의 유형과 발달


③구성기억



4). 상위기억능력의 발달


①기억에 대한 상위인지적 지식의 발달


②기억에 대한 자기조정능력의 발달



4. 수 개념 발달



1). 서


-수 개념이란 사물의 수량, 부피, 크기에 대하여 생각하는 방법을 말하며 순차적이고 조직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이다.


-수의 구성은 논리의 발달과 병행한다


-전 수 개념 단계는 전 논리적 단계와 대응


-논리적 사고를 훈련시키고, 개념 구성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수를 통해서이다.



2). 수의 본질과 수 개념


-수는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는 이상 생각 즉 개념이다.


-수는 논리 수학적 지식의 일면이다.


-수학이란 수와 상징을 사용해서 양과 관련성을 학습하는 학문이다.



3). 수 개념 발달 단계


①총체적 비교 단계


②직관단계


③ 조작 단계



4). 수의 보존 개념


-보존 개념이란 수는 모양에 변화가 있어도 더하거나 빼지 않는 한 그 수량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아는 것.


-Piaget는 보존 개념과 논리적 행동은 서로 직결되어 있어서 보존 개념은 모든 경험이나 추리의 필수적 조건이 된다.


-수세기와 수 보존 개념의 상관 관계


①수 보존 개념에 수세기가 필수적이라는 입장


②수 보존 개념이 없는 상태에서의 수세기는 의미가 없다고 보는 입장. Piaget가 대표적



5). 수 개념의 내용


-수 기능 및 수 지식에 관한 내용. 두 종류의 획득 모두 중요


①직관산(subitizing)


②집합


③일대 일 대응


④ 순서수


⑤세기



5. 언어 발달



1). 유아 언어 발달의 특성


(1)음성학적 발달(phonological development)


(2)의미론적 발달(semantic development)


(3)구문론적 발달(syntactic development)


(4)화용론적 발달(pragmatic deveopment)



2). 언어발달 이론


(1)학습 이론적 접근


(2)생득 이론적 접근


(3)인지 발달론적 접근(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①Piaget의 관점


  ②Vygotsky의 관점


  ③의미론적 관점


  ④ 사회적 상호 작용론적 관점



3). 언어 발달 현상


*낱말 사용 능력을 기준으로 초기 언어발달을 언어 전단계와 언어 후단계로 구분



(1)언어 전단계


①음성언어 지각능력의 발달


②음성언어 생성능력의 발달



(2)언어 후 단계


①일어문기


②이어문기


③후기 언어 발달기



4).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①듣기 능력의 발달


②말하기 능력의 발달


③상위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6. 정서발달



1). 정서의 정의


-정서는 두려움, 즐거움, 놀라움, 그리고 분노와 같은 감정을 경험하는 것을 지칭한다.



2) 정서의 이론


(1)Robert-Pluchik 이론(1980)


여러 가지 적응적 행동을 형성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8가지 기본 범주의 정서


①두려움(fear)


②놀람(surprise)


③비애(sadness)


④혐오(disgust)


⑤분노(anger)


⑥예기(anticipation)


⑦기쁨(joy)


⑧수용(acceptance)



(2) James-Lange 이론


-자극은 우리들 체내에서 생리적 변화를 일으키게 하며 정서란 이러한 신체적 변화의 결과이다.


-자극→생리적 반응→대뇌피질(지각) 순으로 진행된다고 봄



(3) Cannon-Bard 이론


-정서와 신체적 반응은 동시에 일어난다.


-지각이 우리의 정서를 결정



(4) 인지 이론


-Cannon-Bard의 이론을 확대


-지각 또는 판단(인지)이 정서적 경험에 필수적



3) 정서의 발달


①다양한 정서를 적절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변해 가는 것이다


②정서를 적절하게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③정서를 바람직하고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④다른 사람의 정서를 읽을 줄 알게 된다


⑤감정이입이 가능하게 된다.



(1) 언어적 표현


-"책만 먹고 살아라"는 "네가 내 말을 듣지 않아서 정말 화가 난다"라는 표현이다. 정서의 정확한 보고는 후자이다



(2) 비언어적 표현


-행위는 말보다 더 크게 말한다.


-안면표정, 신체자세, 목소리 억양


-감정이입은 다른 사람의 정서를 알아내는 능력 뿐 아니라 당신 스스로를 다른 사람의 자리에 집어넣는 적절한 정서적 반응을 가지는데 달려 있다.



4) 정서와 교육


⑴자녀의 감정을 존중하라


⑵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어떻게 통제하는지 그 본을 보여 주어라.


(3) 감정들에 대해 이름을 붙여 주고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라.


(4) 아이가 자신의 감정에 대해 말해 올 때 부모는 수동적인 청취와 능동적인 청취 둘 다를 활용하라.


(5) 따뜻한 가정과 인정과 격려를 해 주라.(특히 수줍음과 관련한 감정)



7. 동기 발달



1) 동기의 개념


-동기와 정서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동기(motive)란 유기체를 각성시키고 어떤 목표를 향하여 행동을 이끌어가는 내적인 지향세력이다. 요구(need)나 욕구(want)로 표현되기도 한다.


-동기는 일반동기(general motivation)와 특수동기(specific motivation)으로 구분.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와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로 구분하기도 함.



2) 동기 이론


(1)행동주의 동기 이론


(2)인지주의적 동기이론


(3)인본주의적 동기 이론



3) 동기의 종류


①일차적 동기


-성적 동기(성욕)


-자극 동기(stimulus motive)


②학습된 동기(사회적 동기)


-공격 동기


-성취동기


-권력 동기


-유친동기



8. 사회성 발달



1) 사회성의 개념


사회성이란 남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이다          



-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사회 교육의 목표



2) 어머니-유아의 관계


★ 애착


(1)애착의 개념


   - 애착이라는 용어는 Bowlby가 아기와 어머니와의 유대관계를 설명하는데 사


     용한 개념이다.


(2)애착의 발달과정


    ① 2-3개월 경. 유아는 비 변별적인 사회적 반응을 보임. 즉 낯선 사람에게나


       낯익은 사람에게 유사한 반응을 보임.


    ② 3-6개월 경. 유아는 양육자를 타인과 구분할 수 있고 낯선 사람보다 어머


       니에게 사회적 신호를 더 자주 보내기 시작. 그러나 낯선 사람에게도 비교


       적 다정.


    ③ 6-7개월 경. 유아는 어머니 곁에 있으려 하고 어머니가 가려고 하면 크게


       울어대며 어머니가 돌아오면 매우 기뻐한다.



(3)애착의 대상


(4)애착의 유형


  ① 안정애착


  ② 불안/회피적 애착


  ③ 불안/저항적 애착



(5)애착유형을 결정하는 요인


  ① 모자녀 상호작용의 질


  ② 유아의 특성



3) 아버지 - 유아의 관계


(1) 자녀양육에서의 아버지의 참여


(2) 아버지 -유아간 상호작용의 특징



4) 형제자매관계


(1) 형제자매관계의 특성


(2) 형제자매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출생순위


②성구성형태


③연령터울


(3) 부모의 차별행동과 형제자매관계



5) 또래관계


(1) 유아간 상호작용의 특징


-초기상호작용


-유아상호작용의 개인차



(2) 우정의 발달


* 친구관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 친구관계에 대한 개념은 언제 갖게 될까?



(3) 사회적 유능성의 발달


①사회적 유능성의 의미


-자신이 원하는 사회적 목표를 얻는데 필요한 기술을 아는 것



②사회적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기술


- 상호작용을 유지하는 기술


- 대인간 갈등의 해결


③사회적 유능성과 관련된 가족환경


④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해 성인이 할 수 있는 일


-자녀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 많은 대화, 유아의 필요를 아는일


-사회는 믿을 만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이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용기, 양심, 정직, 관용 등의 가치관을 성인이 먼저 가지도록


-아이의 존엄성을 인정할 것



9.성격 발달



1) 성격이란 무엇인가?


- 영어의 'personality'와 'character'를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 인격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특별히 인격은 윤리학용어로서 도덕적 행위의 주체를 의미하고, 자각적, 통일적,


  이론적인 특성을 가지는 정신적 존재로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심리


  학은 몰가치적인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심리학의 용어로서는 문제가 있다.


- 성격에 대한 정의는 심리학자의 수만큼 많다.


  간단히 말해 '정말로 그 사람인 것(What a man really is)이라고 말함.



2). 성격발달이론


(1)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


(2) Allport의 '자아발달이론'


     ① 신체적 자아상


     ② 자아 아이덴티티


     ③ 자아 존중감


     ④ 자아 확장감


     ⑤ 자아상


     ⑥ 이성적 대처자로서의 자아


     ⑦ 자아추구


3) 성격형성의 요인


(1) 생리적 요인


    ① 신경계  ②내분비선          


(2) 신체적 요인      


    ① 체격과 성격 ② 신체적 조건   


(3) 가정환경적 요인


       ① 부모와 자녀의 관계  ② 형제관계 



4) 건강한 유아의 성격 특성


(1) 잘 노는가?


(2) 왕성한 지적 호기심을 보이는가?


(3) 생각이나 느낌을 말로 표현하는가?


(4) 자존심을 갖고 있는가?



5). 유아를 위한 성격검사


 - 성격검사는 그림에 반응하게 하는 투사적 검사들이 대부분이다.


 - 우리나라에서 아동을 위한 표준화된 성격검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그림좌절검사(김재은 & 김태련, 1964)


(2) 인성검사(정범모)


(3) 간이정신 진단검사(중앙적성출판부, 1984)


(4) 성격차원검사(아이젠크 & 이현수, 1985)


(5) 한국판 아동용 회화통각검사(CAT)(김태련)




                                                                        제 4 부 시기별 발달과업과 교육적 적용



          (1)영아기(0-2세)


  (2)유아기Ⅰ(2-4세)


  (3)유아기Ⅱ(4-7세)


  (4)아동기(8-12세)




1. 영아기(Infancy, 0-2세)



Ⅰ. 발달 특징


- 발달의 속도나 모습이 어떤 시기보다 매우 급진적이다.


- 태어나서 일년 동안 몸무게는 3배, 키가 2배나 증가한다.


- 출생 후 7세 경, 대상영속성 개념(object permanency) 획득


- 언어발달이 매우 급격하게 일어나기 시작


- 감각적 자극과 적절한 보살핌이 매우 중요



Ⅱ. 발달과업



1) 애착관계 형성


⑴ 애착의 개념



⑵ 애착의 발달과정


① 0-3개월


② 3-6개월


③ 6-7개월 경


④ 7개월 - 4세


⑤ 4세 이상



⑶ 애착의 대상



⑷ 애착의 유형



⑸ 애착유형을 결정하는 요인


  ① 모자녀 상호작용의 질


  ② 유아의 특성



⑹ 애착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행동 특성



2) 대상 영속성의 개념 획득


- 8개월- 12개월 사이 대상 영속성의 개념이 확실하게 획득



3) 감각 운동 지능의 발달



Ⅲ. 교육적 적용


①엄마와 영아간의 상호 작용의 질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


②엄마는 영아의 필요를 어떻게 채워주고 어떻게 돌보아 줄까


③직장을 가진 여성들의 문제를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④8 시간, 9시간 탁아소에다 아이를 맡기는 문제를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⑤skinship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⑥영아의 지적 발달을 도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감각적 경험, 감각적 경험을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사무관참고자료(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7년10월  (0) 2007.11.15
교육학개론요약  (0) 2007.11.09
일일제  (0) 2007.09.05
헌핵심(채박사님)  (0) 2007.09.04
성격유형인간(홀랜드)  (0) 2007.08.20